상반기 국산차 판매순위… 현대차 그랜저 '원맨쇼'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입력 2017-07-05 16:09 수정 2017-07-06 09:34



4일 국내 완성차 업체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는 총 77만9685대의 국산차가 판매됐다. 지난해(81만2265대)와 비교해 4.0% 줄어든 수치다.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34만4783대를 팔았고 기아자동차는 25만5843대를 기록했다. 이어 한국GM은 7만2708대, 쌍용자동차 5만3469대, 르노삼성자동차 5만2882대 순이다.
현대차의 경우 모델 노후화에 따라 SUV 판매량이 30% 넘게 감소했지만 그랜저와 쏘나타, 아반떼 등 ‘세단 3인방’의 활약으로 전체 실적 하락폭은 1.8% 감소에 그쳤다. 기아차는 작년(27만6750대)에 비해 7.6% 줄었다. 세단과 SUV가 동시에 하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판매가 5.5% 늘었다. 티볼리의 인기가 여전했고 새로운 플래그십 SUV G4 렉스턴이 추가되면서 강력한 ‘원투펀치’를 완성했다. G4 렉스턴은 대형 SUV임에도 불구하고 매달 2000대 넘는 판매대수를 기록하면서 경쟁모델인 기아차 모하비를 압도하고 있다.
르노삼성은 12.7% 증가해 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출시된 중형 세단 SM6를 비롯해 모든 세단의 판매가 부진했지만 QM6가 매월 2000대 넘게 팔리며 브랜드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

모델별 판매순위는 여전히 현대기아차가 상위권을 휩쓸었다. 특히 SUV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현대차 세단 3인방의 저력이 인상적이다. 그랜저는 7개월 연속 1만 대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베스트셀링카 자리에 올랐고 페이스리프트와 연식 변경을 거친 쏘나타와 아반떼도 5위권에 포함됐다.
다른 브랜드의 경우 쌍용 티볼리가 꾸준한 인기로 9위에 올랐고 작년 6위에 이름을 올렸던 쉐보레 스파크는 순위가 7단계나 내려갔다. 르노삼성 QM6는 브랜드 성장을 홀로 주도하며 약진했지만 ‘간발의 차이’로 21위에 그쳤다.

여기에 3월 출시된 하이브리드 버전도 꾸준히 판매가 늘어 실적에 힘을 보탰다. 특히 일반 모델 판매가 3월부터 줄어들고 있지만 하이브리드가 상승세를 보이며 공백을 메우고 있다. 지난달 그랜저는 총 1만2665대가 팔렸으며 일반 모델은 1만194대, 하이브리드는 2471대가 판매됐다. 그랜저의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단일 차종으로 연간 10만 대 판매를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3위 쏘나타는 현대차의 전략이 제대로 맞아 들어간 모델이다. 연초 판매량은 4000여대 수준이었지만 ‘쏘나타 뉴라이즈’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판매대수가 크게 뛰었다. 그랜저만큼은 아니지만 지난 4월과 6월에는 9000대 넘는 실적을 기록해 ‘국민 세단’의 자존심을 뽐냈다. 다만 상반기 누적 판매대수는 4만2037대로 전년(4만4548대) 대비 5.6% 감소했다.

기아차 모닝은 3만6638대로 5위를 기록했다. 올해 1월 풀체인지를 거쳐 라이벌 모델인 쉐보레 스파크를 압도하는 실적을 거뒀다. 다만 국내 경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신차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신형 모닝의 판매는 구형이 팔리던 작년 상반기(3만5005대)와 비교해 4.7% 소폭 상승에 그쳤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