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회식 최악의 비매너 2위 ‘집에 못가게 붙잡기’, 압도적 1위는?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입력 2017-12-12 10:41 수정 2017-12-12 10:45

사람인 설문조사… 직장인 5명 중 3명, 송년 회식 부담스러워”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629명을 대상으로 ‘송년 회식 부담감’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5명 중 3명은 송년 회식 참여가 ‘부담스럽다’(57.2%)고 답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71.8%로 남성(49.6%)보다 22%p 이상 높았다.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늦은 시간까지 이어져서’(52.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연말을 조용히 보내고 싶어서’(49.2%), ‘억지로 술을 권하는 분위기라서’(35%), ‘임원들과 회식하는 것이 부담돼서’(32.8%), ‘과음하는 분위기라서’(31.9%), ‘주로 업무나 성과 이야기를 해서’(22.5%), ‘날짜를 무리하게(금요일, 휴일, 1박2일 등) 잡아서’(18.1%), ‘장기자랑 등 준비해야 해서’(14.2%)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주로 하는 송년 회식 방식은 ‘음주가무형 회식’(70%,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송년 파티 형태의 회식’(24.8%), ‘호텔 뷔페 등 고급스런 식사 회식’(7.8%), ‘점심 회식’(7.2%), ‘가족동반 회식’(2.2%) 등의 순이었다.

‘저녁 대신 점심 회식’(28.9%,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콘서트, 영화 관람 등 문화활동 회식’(22.6%), ‘메뉴, 일정 등을 자유롭게 조율할 수 있는 회식’(22.4%), ‘호텔 뷔페 등 고급스런 식사’(16.9%), ‘송년 파티 형태의 회식’(16.4%) 등의 답변이 있었고, ‘회식을 아예 안 하길 원한다’는 응답도 13.4%였다.
많은 직장인들이 송년회식을 꺼리는 이유는 방식의 문제도 있지만, 참석자의 행동도 영향을 미친다.
직장인이 뽑은 송년 회식 최악의 비매너는 ‘억지로 술 권하기’(32%)였다. 다음으로 ‘집에 못 가게 붙잡기’(24%), ‘했던 얘기 또 하기’(12.4%), ‘술 취해 시비 걸기’(11.9%), ‘부담스러운 농담이나 스킨쉽 하기’(8.6%), ‘없는 사람 험담하기’(5.2%), ‘눈치보다 일찍 도망가기’(2.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또한, 응답자 중 34%는 올해 송년 회식을 피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송년회식을 어떻게 피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26.2%가 ‘여행 등 미리 정해진 일정 핑계’를 선택했다. 다음으로 ‘본인 건강 핑계’(22.4%), ‘솔직하게 불참 의사를 밝힘’(19.6%), ‘생일, 제사 등 경조사’(12.1%), ‘부모님 등 가족 건강 핑계’(10.7%), ‘말 없이 불참’(3.7%), ‘거래처 미팅 등 업무 처리’(2.8%) 등의 순이었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