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26위, 경제성과는 좋지만…

동아경제

입력 2014-05-22 10:04 수정 2014-05-22 11:0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한국이 국가 경쟁력 순위에서 26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4계단 하락한 수치다.

22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의 ‘2014 국가경쟁력’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 성과와 인프라 분야는 지난해 수준을 지켰지만 정부 효율성과 기업 효율성에서는 평가가 좋지 못했다. 분석 대상 60개국 가운데 26위에 올랐다.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9위, 인구 2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서는 10위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각각 2단계와 1단계 밀려났다.

G20 국가 중에서는 8위를 차지해 지난해 7위에서 1단계 떨어졌다. 전체 순위로 보면 미국과 스위스가 각각 2년 연속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지난해 5위였던 싱가포르가 3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지난해 24위에서 3계단 오른 21위로 한국을 넘어섰고, 중국은 21위에서 23위로 밀렸다. 인도와 브라질, 멕시코 등 주요 신흥국은 지난해보다 일제히 순위가 하락했다.

국가경쟁력 순위를 결정하는 주요 4개 부문 순위를 보면 한국의 경제 성과와 인프라는 각각 지난해 20위와 19위 수준을 지켰으나 정부 효율성은 20위에서 26위로, 기업 효율성은 34위에서 39위로 각각 밀려났다.

정부 효율성은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것이고, 기업 효율성은 최근 10년간 최저 순위. IMD는 한국 정부 효율성 분야의 경우 정부보조금(2위)과 재정수지(5위), 외환보유고(7위) 등은 강점이지만 관세장벽(58위)과 조세 회피가 경제를 위협하는 정도(57위), 고령화 위험(46위) 등이 약점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기업 효율성의 경우 연평균 근로시간(3위)의 순위는 높지만 회계감사의 적절성(59위)과 시장변화 적응성(56위), 노사관계 생산성(57위) 등이 약했다는 분석이다. 20개 중간부문별로는 국내경제(13위)와 고용(7위), 기술인프라(8위), 과학인프라(6위) 분야가 우수했다.

그러나 물가(50위), 기업관련 법규(42위), 사회적 여건(36위), 노동시장(36위), 경영활동(56위) 분야는 취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38개 세부 항목을 보면 장기 실업률과 종이와 상자지류 재활용률,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세계 1위였고 고등교육 수학률(2위), 공공부문 고용비중(3위) 등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반면 회계감사의 적절성은 60개국 중 59위, 기업이사회의 회사경영 감독(58위), 기업 사이버보안(58위), GDP 대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누적액(57위) 등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한국 국가경쟁력 26위 소식을 들은 네티즌들은 “한국 국가경쟁력 26위? 이것도 높지 않나?”, “한국 국가경쟁력 26위, 아쉽다”, “한국 국가경쟁력 26위, 다음엔 상승하길”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기사제보 car@donga.com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