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 39%…정말이야?
동아경제
입력 2015-05-11 16:19 수정 2015-05-11 16:25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사진=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 39%…정말이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대학생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 팀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간지, 뽀록, 오케바리, 구라, 가라, 땡깡, 삐까삐까, 애매하다, 사라, 닭도리탕, 쯔끼다시, 지리, 다데기, 식대, 무대뽀, 쇼부, 와쿠, 기스, 분빠이, 공구리, 후카시, 곤색, 망년회, 견출지, 호치케스, 고참, 땡땡이 무늬, 노가다, 잔업, 시말서.”
두 팀은 서울·경기 지역 남녀 대학생 각 350명을 대상으로 ‘다음 중 자신이 평소 많이 쓰는 단어 5개를 선택해 주십시오’라며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 대학생 405명(57.9%)이 자주 쓰는 단어로 ‘구라(거짓말)’를 택해 1위로 꼽혔고, 애매하다(모호하다)가 386명, 기스(상처)가 283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간지(멋·211명), 닭도리탕(닭볶음탕·192명), 다데기(다진 양념·179명), 뽀록(들통·162명), 분빠이(분배)·노가다(노동·159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또 호치케스(스테이플러·145명), 땡땡이무늬(물방울무늬·142명), 땡깡(투정·117명), 오케바리(좋다·104명), 망년회(송년회·93명), 쇼부(승부·88명), 고참(선임·83명) 등도 빈번하게 쓰이는 일본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일본어 잔재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매체'로 인터넷(66.7%), TV(25%), 라디오(5.3%), 신문(2.7%), 잡지(0.29%) 등의 차례로 답했다.
특히 광복 70주년을 맞는 오늘날까지 일본어 잔재가 사라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국민의 무관심(27%),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26.6%), 정부의 무관심(26.1%)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어 ‘일본어 잔재를 우리말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는 바꿔야 한다(59.4%),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39%) 등으로 나왔다.
이에 대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이라는 질문에는 우리말을 지켜야 하기 때문(35.3%),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26.7%) 등으로 조사됐다.
동아경제 기사제보 ec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열차에 두고 내린 결제대금 3천만원, 주인 품으로 무사귀환
- “창가나 통로 옆 좌석도 돈 내야해?”…항공사 ‘좌석 선택 수수료’ 논란
- 이수정 “공수처 무력 사용에 시민 다쳐…다음 선거부턴 꼭 이겨야”
- 주택서 발견된 화재 흔적…‘간이 스프링클러’가 막았다
- ‘아가씨’ ‘여기요(저기요)’…연령·성별 따라 호칭 달라
- ‘쿨’ 김성수, 수십억대 사기 피해 고백…“유재석 말 들을 걸” 후회
- “성경에 대한 흥미 느끼도록…입문 돕는 바람잡이 되고파”
- ‘15년 공백기’ 원빈 근황…여전한 조각 미남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서울원 아이파크 8일 무순위 청약…전용 74·84㎡ 물량도 나와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보아, 18년 전 샀던 청담동 건물…시세차익 71억원
- ‘BS그룹’ 새출발… 새로운 CI 선포
- 삼성, 쓰던 갤럭시폰 매입 시작…중고폰 시장 메기될까
- ‘은퇴’ 추신수, SSG 프런트로 새 출발…육성 파트 맡을 듯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해외여행 가면 손해”…설 연휴, 국내관광 혜택 쏟아진다
- 알뜰폰 더 싸진다…1만원대 5G 20GB 요금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