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취업자 증가 최소…고용부 “고용률, 역대 최고” 자평

뉴시스(신문)

입력 2025-01-16 12:27 수정 2025-01-16 12:2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고용부 2024 고용동향 설명회
“취업자 증감·고용률 같이 봐야”
“청년 고용률 양호…체감은 심각”
“성별 임금격차 여전…OECD 최하위”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57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천명(0.6%) 늘었다. 지난 2023년 대비 절반에 불과한 수준이다. 15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일자리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2025.01.15 [서울=뉴시스]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이 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고용한파’가 몰아친 가운데 고용노동부는 고용률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고 강조했다. 고용률과 취업자 수를 균형있게 살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용부는 16일 오전 전날(15일) 발표된 통계청의 2024년 연간 고용동향 관련 설명회를 진행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0.2%) 줄었다. 취업자가 1년 전보다 감소한 것은 2021년 2월 이후 46개월 만이다. 또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은 15만9000명(0.6%)으로 2020년(-21만8000명) 이후 4년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설명회에서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지난해 고용상황을 두고 “고용률은 62.7%로 역대 최고 수준”이라며 “취업자 수 증가폭은 조정됐지만 그럼에도 인구증가와 유사한 수준으로 취업자가 증가하면서 고용률은 0.1%포인트(p)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 실장은 통계청 분석을 두고 “한국은 2018년 이후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며 “이 부분이 취업자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 지표를 읽을 땐 고용률도 함께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한 사람들의 비율을 의미한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 취업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실장은 “ILO(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인구 영향, ‘전년대비 증감’은 코로나 시기 변동 기저가 포함돼 있으므로 객관적 고용상황 진단을 위해선 고용률(인구효과 배제)의 기준시점 대비 변화(기저효과 배제)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아울러 고용부는 청년, 여성, 고령층 등 대상별 고용동향 분석도 제시했다.

청년의 경우 지난해 고용률이 46.1%로 역대 3위를 차지했으며 실업률은 5.9%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다만 고용부는 청년들의 체감 고용상황은 어려웠다고 봤다.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되고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증가하는 반면 경력직 채용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매년 증가세를 보이는 ‘쉬었음 청년’ 중 ‘고졸이하’가 59.4%를 차지한 가운데 이 실장은 “올해는 고졸 쉬었음 청년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여성의 경우 30대 고용률(71.3%)이 가장 큰 폭(3.3%p)으로 상승하며 전체적인 고용률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고용률 차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 좁혀졌다.

다만 이 실장은 “여전히 여성 고용률은 OECD 평균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라며 “성별 임금격차도 OECD 국가 중 최하위”라고 했다.

아울러 이 실장은 고령층 고용을 두고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를 시작했다”며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어떻게 더 머물고 더 일하게 하느냐가 전체 노동공급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고용부는 이날 설명회에서 이 같은 동향과 관련된 대응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실장은 “1월 내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79만명을 채용하고 1분기까지 110만명 조기 채용을 추진하겠다”며 “고용취약계층 맞춤형 대책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부는 청년(1월), 고령자(2월) 등 주요 대상별 고용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고용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와 3월 중 합동 채용박람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8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15만7000명(-7.2%) 감소했다. 2013년 이후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는 111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7만1000명(18.1%) 늘었다. 2020년 12월 113만5000명 이후 12월 기준으로는 최고 기록이다. 증가폭은 2021년 2월 20만1000명 증가 이후 최대 수준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2월 고용지표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영향으로 일시적 둔화했다”고 밝혔다. 12.3 계엄사태에 이은 탄핵정국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