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속 1200km로 서울~부산 20분…총알 탄 ‘하이퍼튜브 열차’ 본격개발
오승준 기자
입력 2025-04-09 11:29 수정 2025-04-09 13:20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내로 이동 가능해 ‘총알탄 열차’로 불리는 하이퍼튜브 기술 개발이 본격화된다. 미래형 초고속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는 진공 수준의 튜브에서 자기 부상 기술과 전자기력을 이용해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는 9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함께 하이퍼튜브의 핵심 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상태의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을 이용해 열차를 띄우고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킨다.
하이퍼튜브는 시속 1200km로 주행 가능하며 서울~부산 구간을 20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비행기(시속 900km)와 고속열차(시속 300km)보다 각각 1.3배와 4배씩 빠른 수준이다.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만큼 비나 바람 등 기상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또 태양광 패널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탄소배출을 하지 않는 친환경적 교통 수단이다.
총사업비는 올해부터 3년간 약 127억 원이 투입된다. 이번에 연구개발되는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이다.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하이퍼튜브는 윤석열 정부의 전북지역 7대 대선공약 중 하나다. 당시 열차 시험장(하이퍼튜브 테스트베드)를 전북 새만금에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아직 예타도 통과하지 못하는 등 관련 사업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