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 데 덮친 격”…정국 혼란에 부동산 관망세 짙어지나[비상계엄 후폭풍]③

뉴시스(신문)

입력 2024-12-09 13:37 수정 2024-12-09 13:3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전국 및 서울 아파트 거래량·매매가격 관망세 계속
대출규제, 집값 급등 피로와 함께 시장 위축 가능성
“단기적 영향은 미미…장기적 정책·물가 변동 가능성”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5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 스카이에서 아파트 밀집 지역이 보이고 있다. 이날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이 154.50대 1를 기록해 지난해 연간 경쟁률(57.36대 1)의 2.7배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내년부터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 급감 예고와 올해 강남3구 인기지역 물량이 풀리면서 이른바 ‘로또 청약’ 열풍이 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24.12.05. hwang@newsis.com

최근 고강도 대출 규제 등의 여파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관망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비상계엄과 탄핵정국 등 정치적 혼란까지 겹치면서 부동산 한파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22건을 기록하고 있다. 전월(3126건)에 비하면 소폭 올랐지만, 지난 7월(9206건) 대비로는 60% 가까이 떨어진 수치다.

올 상반기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이 가시화되면서 빠르게 늘기 시작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7월 무려 9000건대를 돌파하기도 했으나, 이후 정부의 전방위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다시 ▲8월 6490건을 거쳐 ▲9월 3126건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이날 기준 11월 거래량 역시 2256건 수준에 불과해, 이달 말 신고 기한까지 기다리더라도 급격한 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2% 하락하며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3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는 서울에서도 강동구 아파트값은 -0.02%를 기록하며, 올해 3월 말(-0.02%) 이후 약 8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환됐다.

한편 업계에서는 안 그래도 고금리 장기화,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 누적,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분위기가 꺾인 상황에 지난주 비상계엄 사태까지 터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더욱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이었던 지난 2016년 11월에는 정치적 불안정과 함께 정부가 청약시장 안정을 위한 분양권 전매 제한 등 수요조절 대책을 펼치면서 부동산 시장에 실제 영향을 미쳤다. 당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2016년 11월 이후 ▲12월 -0.33% ▲2017년 1월 -0.31% 등 두 달 연속 전월 대비 하락했고, 서울 역시 같은 기간 ▲-0.60% ▲-0.28%씩 각각 떨어지는 등 약세를 보였다.

다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결의됐던 2004년 3월부터 5월 사이에는 전국 아파트값이 0.12%, 서울이 0.39% 상승하는 등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치적 현안이 반드시 부동산 시장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결국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 이러한 정치적 불안 요인이 얼마나 오래 이어지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장기적인 정치 혼란은 결국 원·달러 환율 등 금융 시장의 불안을 초래하고, 주택 공급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계엄이라는 정치적 이슈 자체가 워낙 비현실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불확실한 변수로 인해 일부 공급이 지연될 수는 있다”면서도 “부동산 시장은 긴 호흡으로 움직이는 시장이기에 단기 이슈만으로는 당장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이런 상황들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정책 방향의 변동 가능성이 있다”며 “환율 변동은 이번 일로 더 극심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국내에서는 건설원가의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환율은 건설자재·원자재만이 아니라 유가 등 전방위적인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