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2년 4개월 만에 2%대…‘위축’ 부동산 시장 ‘훈풍’ 기대

뉴스1

입력 2025-02-25 10:09 수정 2025-02-25 10:10

prevnext

|
폰트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정치적 불안 계속, 지방보단 서울 지역 집값 상승 원동력
“서울 강남·마용성 거래 활발”…“거래 숨통 터주는 정도”


21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 2025.2.21/뉴스1 

정부가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p) 내리면서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 예년보다 훈풍이 불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탄핵 국면에 따른 정치적 불안이 계속되는 만큼 전국이 아닌 서울 위주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5일 오전 기준 금리를 현재 연 3%에서 2.75%로 0.25%p 인하했다. 기준금리가 2%대에 진입한 것은 2년 4개월 만이다.

통상 ‘기준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넣어줄 청신호로 꼽히지만 지난해 10월과 11일에는 기준 금리 인하로 인한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같은 해 7~8월 금융당국의 가계 대출 관리 압박에 은행이 대출 금리를 높이고, 비대면 대출을 막는 등 대출 조건을 강화하면서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하에도 효과 제한적…전문가 “올핸 상승효과 뚜렷”

전문가들은 올해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주택시장의 상승효과가 뚜렷할 것으로 전망했다. 새해들어 가계 대출 문턱이 잇따라 완화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고준석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교수는 “시중은행이 대출 금리를 올린 것에 대해 금감원에서 점검을 나가는 등 대출 규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0.2%p 인하 자체가 매수 심리에 큰 영향을 주면서 실제 매매 행동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기준금리가 3%대에서 2%대까지 내려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이 (전년보다)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며 “봄철 이사 수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에 따라 높아진 매수 심리에 맞물려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탄핵 정국 여파에 정치적 불안성 계속…“전국보다 서울 위주 훈풍”

전국보다는 서울 위주로 주택 매매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토지거래허가 규제가 풀린 잠실·삼성·대치·청담 일대 거래가 늘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 랩장은 “기준금리를 낮춘 것은 결국 경기 둔화에 대한 대응이라, 경기 침체가 주택 구매 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이번 기준 금리 인하가 전국 주택 시장에 영향을 주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린 지역(잠실, 삼성, 대치, 청담) 등 서울 지역에서의 집값 상승 모멘텀(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이미 집값이 떨어지는 지방 시장에서는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형석 우대빵 부동산 연구소 소장은 “정치적 불안성이 계속되고 있어 강남 3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이외 국평(전용면적 84㎡) 기준 매매가 20억인 마포, 강동, 동작, 광진, 양천 등 주거 선호 지역 위주로 (금리인하에 따른) 훈풍이 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은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에 따른 민감도는 지방이 높지만, 지금은 미분양 문제 등으로 상황이 다르다”며 “서울 강남, 마용성 등 우량 지역에서 금리 인하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불안 요소가 크기 때문에 서울에서도 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급반전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거래에 숨통을 터주는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0 / 300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