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신혼의 한숨 “이자 3배 됐는데, 집값 떨어져 팔지도 못해”
세종=서영빈 기자
입력 2022-12-13 03:00 수정 2022-12-13 09:08
작년 신혼부부 89%가 대출 보유
지난해 3월 결혼한 김모 씨(37) 부부는 신혼집을 마련하려고 3억 원의 신용대출을 받았다. 인천 부평구의 재개발 아파트 입주권 구입에 1억5000만 원을 쓰고 나머지 돈으로 입주 전까지 거주할 전셋집을 구했다.
김 씨는 지난해 1월 연 2%대 후반 금리로 대출을 받아 한 달에 180만 원의 원리금을 갚았다. 하지만 올 10월부터 금리가 연 6%대 후반으로 치솟아 원리금 부담이 월 300만 원으로 뛰었다. 김 씨는 “입주 중도금으로 2억 원을 추가로 빌려야 하는데 이자가 처음보다 세 배나 올라 저축은커녕 빚을 갚기도 벅차다”며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입주권 값이 20%나 떨어져 이젠 팔 수도 없다”고 했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대출 보유 비중이 89.1%로 높아져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빌린 대출잔액 중간값도 1억5300만 원으로 역대 최고(最高)였다. 지난해 집값이 급등하면서 신혼부부들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집값 부담이 커지면서 지난해 신혼부부 수가 전년보다 7.0% 줄어 역대 최대 감소 기록을 갈아 치웠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11월 1일 기준 5년 내 혼인신고 부부) 중 대출 보유 비중은 89.1%로 1년 전에 비해 1.6%포인트 높아졌다. 이들의 대출잔액 중간값은 1억5300만 원으로 지난해(1억3258만 원)에 비해 15.4% 늘었다. 특히 2억 원 이상 대출 비중이 2020년 29.9%에서 2021년 37.3%로 7.4%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2억 원 미만 대출 비중은 70.2%에서 62.7%로 7.5%포인트 떨어졌다. 집값 급등으로 고액 대출을 받은 신혼부부가 늘어난 것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집값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이 많이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집을 가진 신혼부부 비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0.1%포인트 떨어진 42.0%로 역대 최저였다. 이 중 혼인 1년 차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 비중은 30.7%에 불과했다. 신혼부부 주택 보유 비중은 2018년 43.8%에서 2019년 42.9%, 2020년 42.1%로 하락세다.
집값 등 결혼비용 부담으로 인해 결혼을 주저하는 이들은 늘고 있다. 지난해 신혼부부 수는 110만1000쌍으로 1년 전보다 7.0%(8만2000쌍) 줄었다. 이 중 결혼 1년 차 부부(19만2000쌍)의 감소 폭이 10.4%로 2∼5년 차에 비해 더 컸다. 통계청은 “결혼 적령기인 30대 인구 감소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추세 등이 겹쳐 혼인 감소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전년보다 0.02명 감소한 0.66명으로 역대 최저였다.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54.2%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59.9%가 자녀를 낳았지만 무주택 신혼부부는 50.1%만 자녀를 가졌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신혼부부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원리금 상환 지원 등 이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서영빈 기자 suhcrates@donga.com
지난해 3월 결혼한 김모 씨(37) 부부는 신혼집을 마련하려고 3억 원의 신용대출을 받았다. 인천 부평구의 재개발 아파트 입주권 구입에 1억5000만 원을 쓰고 나머지 돈으로 입주 전까지 거주할 전셋집을 구했다.
김 씨는 지난해 1월 연 2%대 후반 금리로 대출을 받아 한 달에 180만 원의 원리금을 갚았다. 하지만 올 10월부터 금리가 연 6%대 후반으로 치솟아 원리금 부담이 월 300만 원으로 뛰었다. 김 씨는 “입주 중도금으로 2억 원을 추가로 빌려야 하는데 이자가 처음보다 세 배나 올라 저축은커녕 빚을 갚기도 벅차다”며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입주권 값이 20%나 떨어져 이젠 팔 수도 없다”고 했다.
하지만 집을 가진 신혼부부 비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0.1%포인트 떨어진 42.0%로 역대 최저였다. 이 중 혼인 1년 차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 비중은 30.7%에 불과했다. 신혼부부 주택 보유 비중은 2018년 43.8%에서 2019년 42.9%, 2020년 42.1%로 하락세다.
집값 등 결혼비용 부담으로 인해 결혼을 주저하는 이들은 늘고 있다. 지난해 신혼부부 수는 110만1000쌍으로 1년 전보다 7.0%(8만2000쌍) 줄었다. 이 중 결혼 1년 차 부부(19만2000쌍)의 감소 폭이 10.4%로 2∼5년 차에 비해 더 컸다. 통계청은 “결혼 적령기인 30대 인구 감소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추세 등이 겹쳐 혼인 감소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전년보다 0.02명 감소한 0.66명으로 역대 최저였다.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54.2%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59.9%가 자녀를 낳았지만 무주택 신혼부부는 50.1%만 자녀를 가졌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신혼부부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원리금 상환 지원 등 이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서영빈 기자 suhcrate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열차에 두고 내린 결제대금 3천만원, 주인 품으로 무사귀환
- “창가나 통로 옆 좌석도 돈 내야해?”…항공사 ‘좌석 선택 수수료’ 논란
- 이수정 “공수처 무력 사용에 시민 다쳐…다음 선거부턴 꼭 이겨야”
- 주택서 발견된 화재 흔적…‘간이 스프링클러’가 막았다
- ‘아가씨’ ‘여기요(저기요)’…연령·성별 따라 호칭 달라
- ‘쿨’ 김성수, 수십억대 사기 피해 고백…“유재석 말 들을 걸” 후회
- “성경에 대한 흥미 느끼도록…입문 돕는 바람잡이 되고파”
- ‘15년 공백기’ 원빈 근황…여전한 조각 미남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서울원 아이파크 8일 무순위 청약…전용 74·84㎡ 물량도 나와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보아, 18년 전 샀던 청담동 건물…시세차익 71억원
- ‘BS그룹’ 새출발… 새로운 CI 선포
- 삼성, 쓰던 갤럭시폰 매입 시작…중고폰 시장 메기될까
- ‘은퇴’ 추신수, SSG 프런트로 새 출발…육성 파트 맡을 듯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해외여행 가면 손해”…설 연휴, 국내관광 혜택 쏟아진다
- 알뜰폰 더 싸진다…1만원대 5G 20GB 요금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