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이미지 생성 제한 완화… 맥락따라 유명인-민감 표현 허용”

장은지 기자

입력 2025-03-31 03:00 수정 2025-03-31 03:00

prevnext

|
폰트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포괄적 금지서 “유연하게 적용” 전환
‘나치 문양’ 교육 목적 땐 생성 가능
지브리 등 화풍 모방 저작권 논란도


챗GPT-4o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얼굴을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만들어 달라고 본보가 요청해 생성한 이미지. 사진 출처 챗GPT-4o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인공지능(AI) 관련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업계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제한 강도를 낮췄다. 그간 딥페이크 우려에 따라 유명인 이미지 생성을 포괄적으로 금지해 왔지만, 앞으로는 맥락을 따져 유연하게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조앤 장 오픈AI 모델 행동 총괄은 28일(현지 시간)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미지 생성 정책을 일률적인 거부에서 맥락에 따라 허용하는 것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그는 “혐오 조장이나 조롱 맥락은 여전히 강력히 차단한다”면서도 “실제 피해 가능성이 없고, 교육적·학술적 목적이 명확한 경우에는 민감한 주제에 대한 표현도 허용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눈을 아시아인처럼 그려 달라’는 요청이 조롱의 맥락이 아닐 경우 허용된다는 것이 오픈AI 측 설명이다. 장 행동 총괄은 “무조건 관련 이미지 생성 요청을 거부하는 것은 ‘아시아인의 눈’이라는 속성이 본질적으로 불쾌감을 준다고 의도치 않게 암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 문양도 과거에는 문맥과 관련 없이 무조건 거부됐지만 앞으로는 학술적·교육적 목적인 경우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최근에는 윤리적 문제 외에 저작권 논란도 불거진 바 있다. 오픈AI가 25일 챗GPT-4o에 탑재한 이미지 생성 모델은 원하는 사진을 단 몇 초 만에 디즈니, 심슨가족 등 유명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바꿔주거나 새로 만들어준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오픈AI의 서버에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스튜디오 지브리 측이 조만간 오픈AI를 저작권 침해로 고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본 문화청이 ‘AI와 저작권’ 관련 지침에서 “화풍은 아이디어일 뿐이어서 화풍이 겹친다는 것 자체로 저작권 침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하고 있어 저작권 침해가 실제 인정될지는 불확실하다.



장은지 기자 jej@donga.com

    0 / 300

    라이프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