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文정부’ 탈원전 완전 폐기…원전 비중 30%까지 확대
세종=김형민 기자
입력 2022-07-05 21:03:00 수정 2022-07-05 21:07:43

윤석열 정부가 원자력 발전의 단계적 감축을 앞세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공식 폐기하고,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이르면 내년 3분기(7~9월)에 재개한다. 문 정부가 제시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40%’ 달성은 유지하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낮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국무회의에서 ‘새정부 에너지정책방향’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로 급격한 전환 대신 실현 가능하고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에너지 믹스(발전원별 구성)에서 원전 비중을 23.9%에서 30% 이상으로 늘릴 방침이다. 원전으로 추가 전력이 확보되는 만큼 문 정부가 제시한 신재생에너지 비중(30.2%)은 낮추기로 했다.
가동 허가기간이 종료된 기존 원전의 경우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계속 운전을 추진한다. 해당 원전의 가동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심사용 안전성 평가보고서 제출시기를 허가기간 만료 ‘5~2년 전’에서 ‘10~5년 전’으로 조정한다. 현재 건설 중인 원전 4기는 예정된 기한에 맞춰 준공한다. 신한울 1호기는 올 하반기, 신한울 2호기는 내년 하반기, 신고리 5·6호기는 각각 2024년과 2025년 상반기에 준공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30년에 가동되는 원전 수는 문 정부가 추진한 18기에서 28기로 10기가 늘어나게 된다. 이 중 신한울 3·4호기를 제외한 8기가 계속 운전에 들어가는 원전이다.
에너지 믹스에서 신재생에너지와 화력발전의 비중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다만 문 정부가 지난해 10월 2030년 NDC를 발표하며 밝힌 전력수요가 적정 수준보다 낮다는 판단이다. 이는 원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기로 한 배경이 됐다. 정부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화력발전 비중을 올 4분기(10~12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확정할 계획이다. 산업부 당국자는 “필요한 전력수요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등의 발전 비중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비중 확대와 더불어 원전산업 생태계를 복원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고, 약 4000억 원을 투입해 독자 소형모듈원전(SMR)을 개발하기로 했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새 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이 차질 없이 이행될 경우 원전·재생·수소에너지의 혼합을 통해 화석연료 수입 의존도를 2021년 81.8%에서 2030년 60%대로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테슬라 모델 Y 13개월차 유지비
- ‘우윳값 개편’에 단호한 정부…밀크플레이션 우려 커지며 소비자도 ‘불안’
- 유아 표 끊어 강아지 앉혔다 ‘벌금 40만원’…KTX “성인승차권 사야”
- 경기침체 신호탄?…실업수당 청구 늘어난 美, 韓도 고용 악화 우려
- 휴가철에 혼잡…영동선·서울양양선 많이 막힌다
- 해외여행 면세 한도 600→800달러, 술은 2병까지…“추석 전 적용”
- “기존 출력에 차세대 기술 통합”…페라리 ‘296 GTS’ 국내 출시
- 치솟는 물가에…대출이자 더 오른다
- 서울 아파트 경매도 찬바람…감정가 대비 2억원 낮아도 유찰
- 세입자 피눈물…집주인 체납에 떼인 전세 보증금 472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