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100년 역사와 나아갈 길]1945∼1960, 한국전쟁 전후 제약산업

동아일보

입력 2020-04-27 03:00 수정 2020-04-27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100년 국민의 건강을 지켜온 기업]
휴전 협정 후 1953년 약사제EH-약무행정 기틀 잡혀
의약품 생산-수출 가파른 증가로 성장 발판 마련


1957년 ICA 차관으로 건립된 동아제약 항생물질 생산공장 준공식 장면, 사진 가운데가 강중희 당시 동아제약 사장 한국제약협회 70년사 제공

1945년 일본의 패망과 함께 광복이 도래하며 서구의 최신 의약품들이 ‘구호의약품’이라는 이름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수한 약효로 국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구호의약품은 조선약품공업회의 계열사로 설립된 대한약품진흥주식회사가 군정청의 협조를 얻어 제약기업들에게 배급했다.

1950년 6·25 전쟁 피난민들이 부산 국제시장에 노점을 차리고 피난길에 가져온 일부 의약품을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열악하게나마 시장이 형성됐다. 1953년 7월 휴전협정 체결 이후 같은 해 12월 18일 법률 제300호로 제정 공포돼 비로소 약사제도 및 약무행정의 틀이 잡혔다. 약사법의 제정은 의약품 제조업 분야가 새로운 규제와 감독의 대상이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 제약업은 재래식 수공업 단계에서 탈피해 현대적 산업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1950년대 중반을 넘어서며 강력한 수입대체공업화 정책을 시작했다. 이전까지 제약업계들은 미국에서 들어온 원조 자금으로 첨단설비를 도입하면서 재도약의 발판을 구축했었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제약기업들이 유사한 국산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장려·지원했다.

항생제 국산화 계획 등도 순조롭게 추진되면서 국내 제약기업들의 의약품 생산 및 수출이 기틀을 다져나갔다. 1955년 13만 4092달러에 불과했던 연간 의약품 수출액은 1960년 100만 달러를 넘어서 104만2000달러를 기록하면서 6년 만에 8배 급증했다.

국민 대다수가 배고픔으로 고통 받았던 당시에 의약품은 ‘보건제’로 통칭된 비타민제, 영양제, 앰플 내복약, 피로회복제, 간 보호제 등이 국민 건강의 파수꾼으로서의 역할을 해냈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