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직원수 증가 1위는 LG전자…전체직원수 1위는 삼성전자

뉴시스

입력 2020-04-02 10:36 수정 2020-04-02 10:36

prevnext

|
폰트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19년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직원수 79만명
직원수 삼성전자 10만5000명, 현대차 7만, LG전자 4만



지난해 경영 여건이 녹록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상위 100대기업이 고용한 인원이 80만명에 육박하며 고용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또, 2018년 대비 고용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LG전자였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매출액 상위 100대기업 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84개사 직원 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 100대기업의 고용인원은 79만1144명으로, 이들 기업들이 2018년에 고용한 인원(78만4271명) 대비 6873명 증가했다.


개별 기업별로 살펴보면, 직원수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기업은 ▲LG전자로 전년대비 2,412명이 증가했다.이어 ▲SK하이닉스(2,272명 증가) ▲삼성전자(2,246명 증가) ▲현대트랜시스(1,918명 증가) ▲LG화학(1,731명 증가) ▲삼성SDI(789명 증가) ▲현대자동차(630명 증가) ▲한국전력공사(542명 증가) ▲SK텔레콤(480명 증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472명 증가) 등이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10위 안에는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 계열사가 나란히 두 곳씩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같은 기간 직원수가 늘어난 기업은 53개사로, 줄어든 기업(31개사)보다 많았다.

조사대상 대기업 중 21개사(25%)가 1만명 이상을 고용 중인 가운데, 직원수가 가장 많은 곳은 부동의 1위인 ▲삼성전자(10만5,257명)였다.

다음으로 ▲현대자동차(7만32명) ▲LG전자(4만110명) ▲기아자동차(3만5,675 명) ▲SK하이닉스(2만8,244명) ▲LG디스플레이(2만6,665명) ▲이마트(2만5,779명) ▲롯데쇼핑(2만5,298명) ▲케이티(2만3,372명) ▲한국전력공사(2만3,137명) 등이 10위권을 이뤘다.

100대기업이 속한 그룹(대규모기업집단)별로 묶어 살펴보면, ▲삼성그룹이 16만7,417명으로 1위였고, ▲현대차그룹(14만8,045명)이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LG그룹(11만1,488명) ▲SK그룹(4만5,547명) ▲롯데그룹(3만6,897명) ▲신세계그룹(2만8,542명) ▲포스코그룹(2만5,095명) 등의 순이었다.

성별에 따른 직원들의 비율은 어떨까.
남녀 전체 직원수를 개별 공개한 47개사 중, 남성 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한온시스템(96.7%)이었으며, ▲현대제철(96.5%) ▲기아자동차(96.3%) ▲고려아연(96.3%) ▲대우조선해양(95.9%)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의 경우, 남성 비율이 95%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기업은 ▲신세계(69%) ▲이마트(63.2%) ▲아시아나항공(52.7%) ▲호텔롯데(44.8%) ▲SK하이닉스(3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 중 남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50% 이상인 기업은 93.6%(44개사)였으며, 90%를 넘는 ‘슈퍼 남초 기업’도 36.2%(17개사)에 달했다. 반면, 여성 비율이 직원의 50% 이상인 기업은 3개사에 불과했다.

[서울=뉴시스]



    0 / 300
    추천 많은 댓글
    • BEST
      2020-04-02 17:12:52
      대한민국의 종북 빨갱이놈들은 대기업을 모두 죽여야 할 대상이라고 떠드는데... 이 대기업들 모두 외국으로 이사가면 모두 좋아할려나?
    • 2020-04-02 17:12:52
      대한민국의 종북 빨갱이놈들은 대기업을 모두 죽여야 할 대상이라고 떠드는데...
      이 대기업들 모두 외국으로 이사가면 모두 좋아할려나?
    • 2020-04-02 12:29:26
      두산이 대우하고 합친 게 큰 화근이고 '아시아나'를 '리스백'으로 운영한 것도 아주 좋은 시도인데, 왜냐하면 여행-숙박이 '베타'가 높으니까 금융 위기만 여러 차례, 비체제 위험에 거의 무방비이고 원래 전경련은 그런 것 연구하는 곳이지 상속세 포탈 해주는 곳이 아니죠.
    2 / 2

    라이프



    동아오토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자동차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