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제네바모터쇼]현대차, 제네바서 파리날리는 이유?
동아경제
입력 2014-03-06 16:02 수정 2014-03-07 10:51

모터쇼는 개막일에 앞서 언론에게 먼저 공개되는데, 이 때는 취재진들뿐만 아니라 블로거나 관련 지인들도 함께 참석하기 때문에 공식 일정이 아니어도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이들 대부분은 눈에 띄는 차량이나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에 관심이 쏠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모터쇼가 폐막할 때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른바 ‘대박’과 ‘쪽박’의 현장을 비교해봤다.


우선 람보르기니는 노란색 아벤타도르를 중심에 배치하고 가야드로 후속 모델 ‘우라칸’의 흰색, 검정색, 회색 등 3가지 색상을 전시했다. 아벤타도르는 V12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700마력, 최대토크 70.4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최고속도는 시속 350km다.





관람객들은 이 밖에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폴크스바겐, 푸조, 시트로엥 등 유럽업체들의 신차 소식에 귀를 기울였다.
반면 국내와 일본업체들의 부스는 한산해 대조를 이뤘다. 한국 업체의 경우 현대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인트라도’와 유럽출시 예정인 ‘제네시스’ 외에는 관람객이 거의 없었다. 그나마 관심을 받았던 2인승 스포츠콘셉트카 ‘파쏘코르토(PassoCorto)’도 막강한 수퍼카들 앞에선 맥을 못 추고 있다. 더구나 파쏘코르토는 이탈리아 스쿨 ‘IED(Istituto Europeo di Design)’ 부스에 별도로 전시돼 이질감을 줬다. 파쏘코르토는 IED와 현대차유럽디자인센터가 협업해 제작한 모델이다.
기아차 부스는 더욱 초라했다. 기아차는 유럽에서 처음 선보인 순수 전기차 ‘'쏘울 EV’의 효율성을 부각시켜봤지만 사람들의 관심 밖이었다. 쏘울 EV는 한번 충전으로 200km까지 달릴 수 있다. 소형 스포츠 콘셉트카 GT4 스팅어도 힘을 쓰지 못했다.
이 같은 상황은 일본과 미국업체들도 비슷했다. 도요타는 유럽 전략차종 신형 ‘아이고’, 혼다는 시빅타입 R콘셉트카를 선보였지만 반응은 냉담했고, 인피니티는 ‘신차’ 부재로 썰렁한 모습이다. 유럽시장 철수를 결정한 지엠(GM)은 스포츠카 콜벳, 캐딜락 신형 ATS 쿠페와 7인승 SUV 에스컬레이드 등을 내놨지만 인기몰이에는 실패했다.
제네바=정진수 동아닷컴 기자 brjean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