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전국 집값 상승률 1위…서울보다 0.16%p 앞섰다

뉴스1

입력 2025-04-25 15:17 수정 2025-04-25 15:17

prevnext

|
폰트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4월 넷째 주 세종 아파트, 전주대비 0.3% 상승
대통령·국회 세종 이전 기대감…서울 0.14% ↑


4월 넷째 주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 (부동산 114 제공)

4월 넷째 주 세종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0% 오르며 전국 집값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25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상승하고, 서울은 0.14%·세종은 0.30% 올랐다. 세종은 서울보다 0.16%포인트(p)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차지했다.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행정수도·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론을 띄운 점이 집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은 0.07% 올랐다. 수도권에서도 서울을 제외한 경기·인천 지역은 전주 대비 0.01% 떨어졌다.

5대 광역시와 기타 지방은 각각 0.07%·0.08%씩 떨어지며 하락세를 그렸다.

특히 △전북(-0.32%) △강원(-0.18%) △충북(-0.16%) △경남(-0.15%) △경북(-0.135) 등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4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26% 올랐다. 서울 (0.30%), 수도권(0.28%), 경기·인천(0.26%), 5대광역시(0.23%), 기타 지방(0.15%) 등 주요 권역 모두 상승세가 짙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16곳이 올랐고, 제주지역 한 곳 만이 0.13% 하락했다.

전세값의 오름폭이 가장 큰 지역은 세종(0.30%)이었다. 다음은 △서울(0.30%) △경기(0.27%) △인천(0.25%) △부산(0.25%) △울산(0.23%) △대전(0.23%) △광주(0.23%)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3월말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일대 거래는 소강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해 부동산114 팀장은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지만, 상승폭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장에서는 강남과 송파의 전용면적 84㎡ 이하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간간이 들어오지만,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는 경우가 많고, 가격을 낮추기보다는 관망세로 돌아서는 분위기”라며 “강남권 아파트는 대체제가 없는 희소성을 갖고 있어 당분간 가격 하락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거래 제한 상황에서 강남권 진입을 노리는 수요자들은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과 거시경제 변동성에 주목하며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0 / 300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