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박스 3개중 2개 KS기준 미달
동아일보
입력 2013-11-12 03:00 수정 2013-11-12 08:58
소비자원, 영상품질-내구성 실험 “28만원 고가품도 안정성 부적합”
차량의 주행 영상을 기록하는 블랙박스 제품 3개 중 2개의 성능이 한국산업표준(KS)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블랙박스 31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능(영상품질, 동영상 저장 성능, 진동충격·고온에 대한 내구성) 시험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소비자원은 대상 제품 31개 중 21개가 번호판 식별성, 시야각, 초당 저장화면 수, 진동 내구성 중 일부 요소에서 KS 기준 이하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가격이 가장 비싼 큐알온텍의 ‘LK-7900HD ACE’(27만9320원)는 진동시험 실시 중 거치대가 파손돼 KS 기준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한솔온라인의 ‘HVD-101’(8만8000원)은 제조·수입에 필요한 KC(국가통합인증) 마크가 없어 전파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주차녹화 기능이 없거나 작동이 불안정했고 주차할 때마다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5개 제품(피타소프트 ‘DR380-HD’, 코원시스템 ‘AC1’, 팅크웨어 ‘FX500 마하’, 아이트로닉스 ‘ITB-100HD SP’, 삼보컴퓨터 ‘TGB-F1’)은 야간 번호판 식별성이 우수했고 시야각이나 밝기 적응성에서도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막연히 해상도가 높고 비싼 제품을 선택하기보다는 실제 영상품질과 동영상 저장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품질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수현 기자 soohyun87@donga.com
차량의 주행 영상을 기록하는 블랙박스 제품 3개 중 2개의 성능이 한국산업표준(KS)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블랙박스 31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능(영상품질, 동영상 저장 성능, 진동충격·고온에 대한 내구성) 시험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소비자원은 대상 제품 31개 중 21개가 번호판 식별성, 시야각, 초당 저장화면 수, 진동 내구성 중 일부 요소에서 KS 기준 이하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가격이 가장 비싼 큐알온텍의 ‘LK-7900HD ACE’(27만9320원)는 진동시험 실시 중 거치대가 파손돼 KS 기준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한솔온라인의 ‘HVD-101’(8만8000원)은 제조·수입에 필요한 KC(국가통합인증) 마크가 없어 전파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주차녹화 기능이 없거나 작동이 불안정했고 주차할 때마다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5개 제품(피타소프트 ‘DR380-HD’, 코원시스템 ‘AC1’, 팅크웨어 ‘FX500 마하’, 아이트로닉스 ‘ITB-100HD SP’, 삼보컴퓨터 ‘TGB-F1’)은 야간 번호판 식별성이 우수했고 시야각이나 밝기 적응성에서도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막연히 해상도가 높고 비싼 제품을 선택하기보다는 실제 영상품질과 동영상 저장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품질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수현 기자 soohyun87@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줄지어 놓인 새 학기 교과서들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반도건설, 2025년 동절기 현장 임직원 대상 직무교육
- 9000건→3000건→1000건…서울 아파트 ‘거래 가뭄’ 덮쳤다
- 대우건설, 임직원 자녀 초청 영어캠프 개최
- 서울 vs 지방 부동산시장 양극화…풍부한 개발호재 갖춘 ‘서울원 아이파크’ 주목
- 구직난 가중…취준생 과반 “어디든 취업만 되면 OK”
- “올해 소비시장, 생존이 먼저”…불황형 소비 확산
- 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새학기 앞둔 대학가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