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5 3년타고 중고로 팔아도 출고가 85% 유지
동아경제
입력 2013-04-16 11:40 수정 2013-04-16 13:20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자동차가 출고 3년이 지나면 가격이 최대 반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는 16일 최근 2달(2~3월)간 중고차 전문업체 SK엔카에서 거래된 2010년형 차량의 감가율을 조사한 결과 수입차 감가율이 국산차보다 평균 10% 높았다고 밝혔다. 수입과 국산차의 감가율은 각각 44.5%와 34.8%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렉서스 LS460은 출고가(약 1억3000만 원)에서 56.55% 떨어진 5800만에 거래돼 감가율 1위에 올랐다. 인피니티 G37S가 5280만 원에서 2420만 원으로 떨어져 감가율 53.99%에 달했으며, 닛산 알티마(48.7%)와 아우디 뉴A6(48.1%)도 신차 가격과 큰 차이를 보였다. 뒤이어 혼다 올 뉴 어코드 3.5(48.1%), 벤츠 뉴S클래스 S500L(48%), BMW 뉴7시리즈 740Li(46.5%), 아우디 뉴A4(46.3%), BMW 뉴7시리즈 740i(46.1%), 벤츠 뉴C클래스(42%) 등 공교롭게도 수입차가 감가율 10위 안에 모두 들었다.
국산차는 ▲현대차 제네시스 쿠페(41.8%) ▲르노삼성 SM5뉴임프레션(40.7%·13위) ▲르노삼성 SM7뉴아트(37.5%·17위) ▲현대차 더럭셔리그랜저(37.1%·18위) 등이 20위 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감가율 하위 차종에서는 국산차가 두드러졌다.
기아 K5 2.0은 감가율이 25.6%로 가장 낮았고 현대 YF쏘나타(29.5%)와 르노삼성 뉴SM5신형(30.4%)이 뒤를 이었다. BMW 뉴5시리즈(31%)도 비교적 감가율이 낮았다.
수입차의 감가율이 높은 것은 비싼 수리비와 불편한 서비스 때문인 것으로 컨슈머리서치는 분석했다. 구입 3년이 지나면 보통 차에 문제가 발생하고 부품 교체시기가 다가오는데 이 시점이면 대부분 무상 사후 수리 기간이 종료되기 때문.
컨슈머리서치 최현숙 대표는 “수입차를 구입할 때는 감가율이 급격히 떨어져 중고차로 내놓면 손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수 동아닷컴 기자 brjean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