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참조기 값 32% 뛰고, 소고기 16% 내려
세종=송혜미 기자
입력 2023-09-25 03:00 수정 2023-09-25 04:08
대형마트 판매가 작년 추석과 비교
폭염-이상수온에 과일-생선값 올라
소고기값, 사육 마릿수 늘며 싸져

추석을 앞두고 과일과 참조기, 쌀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일제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 부담이 큰 소고기값이 떨어지면서 차례상 물가는 1년 전보다 소폭 내려갈 전망이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추석을 9일 앞둔 20일 기준 대형마트 34곳의 배 가격은 5개에 평균 1만628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추석을 열흘 앞둔 성수기 가격(1만2297원)보다 32.4% 뛰었다. 전통시장 16곳의 배 가격은 평균 1만7600원으로 지난해(1만5367원)보다 14.5% 올랐다. 올해 대형마트의 사과 5개 가격은 1만7580원으로 지난해(1만4778원)보다 19.0% 올랐다. 다만 전통시장 판매가는 1만5528원으로 1년 전(1만5118원)보다 2.7% 오른 데 그쳤다. 과일값이 일제히 오른 것은 올봄 평년보다 쌀쌀한 날이 이어진 데다 여름철 폭염과 폭우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어획량이 줄면서 참조기값도 비싸졌다. 참조기 3마리 가격은 대형마트 4479원, 전통시장 483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1.8%, 35.4% 뛰었다. 쌀 2kg 가격은 대형마트 5685원, 전통시장 5585원으로 각각 25.7%, 7.4% 올랐다.
반면 차례상 비용 중 큰 몫을 차지하는 소고기값은 떨어졌다.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가 늘면서 가격이 안정화된 영향이 컸다. 육전 등에 쓰이는 소고기 우둔살(1.8kg)은 대형마트에서 평균 8만1884원에 팔리고 있다. 1년 전(9만7495원)보다 16.0% 내렸다. 전통시장 판매가(7만5508원)도 지난해보다 11.2% 낮다. 국거리로 쓰이는 소고기 양지살(300g)은 대형마트 1만6521원, 전통시장 1만3974원으로 각각 7.9%, 10.6% 낮아졌다.
aT는 전통 차례상을 차리는 가정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면 올해 34만2215원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품목을 전통시장에서 사면 26만6652원으로 대형마트보다 8만 원 가까이 덜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대형마트는 5.5%, 전통시장은 2.0% 낮아진 가격이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폭염-이상수온에 과일-생선값 올라
소고기값, 사육 마릿수 늘며 싸져

추석을 앞두고 과일과 참조기, 쌀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일제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 부담이 큰 소고기값이 떨어지면서 차례상 물가는 1년 전보다 소폭 내려갈 전망이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추석을 9일 앞둔 20일 기준 대형마트 34곳의 배 가격은 5개에 평균 1만628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추석을 열흘 앞둔 성수기 가격(1만2297원)보다 32.4% 뛰었다. 전통시장 16곳의 배 가격은 평균 1만7600원으로 지난해(1만5367원)보다 14.5% 올랐다. 올해 대형마트의 사과 5개 가격은 1만7580원으로 지난해(1만4778원)보다 19.0% 올랐다. 다만 전통시장 판매가는 1만5528원으로 1년 전(1만5118원)보다 2.7% 오른 데 그쳤다. 과일값이 일제히 오른 것은 올봄 평년보다 쌀쌀한 날이 이어진 데다 여름철 폭염과 폭우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어획량이 줄면서 참조기값도 비싸졌다. 참조기 3마리 가격은 대형마트 4479원, 전통시장 483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1.8%, 35.4% 뛰었다. 쌀 2kg 가격은 대형마트 5685원, 전통시장 5585원으로 각각 25.7%, 7.4% 올랐다.
반면 차례상 비용 중 큰 몫을 차지하는 소고기값은 떨어졌다.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가 늘면서 가격이 안정화된 영향이 컸다. 육전 등에 쓰이는 소고기 우둔살(1.8kg)은 대형마트에서 평균 8만1884원에 팔리고 있다. 1년 전(9만7495원)보다 16.0% 내렸다. 전통시장 판매가(7만5508원)도 지난해보다 11.2% 낮다. 국거리로 쓰이는 소고기 양지살(300g)은 대형마트 1만6521원, 전통시장 1만3974원으로 각각 7.9%, 10.6% 낮아졌다.
aT는 전통 차례상을 차리는 가정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면 올해 34만2215원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품목을 전통시장에서 사면 26만6652원으로 대형마트보다 8만 원 가까이 덜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대형마트는 5.5%, 전통시장은 2.0% 낮아진 가격이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