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故 박종철 열사 친형이 말하는 ‘서울대생 고문치사’ 사건
김아연 기자, 김채은 인턴
입력 2018-01-08 16:47 수정 2018-01-09 09:47
#1.
박종철 형 종부 씨가 말하는
‘서울대생 고문치사’ 사건
#2.
종철이가 죽은 다음 날(1987년 1월 15일)은 유달리 추웠다.
시신이 안치된 서울 성동구 경찰병원 영안실에서 나왔을 때
굳게 잠긴 병원 철문 뒤쪽에서 사람 기척이 들렸다.
#3.
“동아일보 기자입니다. 서울대생 유족 안에 계세요?”
‘동아일보 기자’라니 믿기로 했다.
“여기 있소. 내가 형이오.”
당시 나는 스물아홉 살로 종철이와 일곱 살 터울이었다.
“박종철 맞습니까?”
“서울대 3학년생이오.”
형사들이 달려들었다. 양팔이 붙들린 나는 영안실로 끌려 들어갔다.
#4.
장례식을 치르고 경찰 조사를 받았다. 정신없이 며칠이 흘러갔다.
동아일보 기자와 몇 마디 주고받았던 게 떠올랐다. 1월 19일이었다.
신문을 찾아봤다.
‘물고문 도중 질식사’
#5.
1면에 대문짝하게 실려 있었다. 기사를 찬찬히 읽어 내려갔다. 그전까지 어느 언론도 종철이의 죽음을 있는 그대로 보도하지 못했었다. 이 기사로 종철이의 희생은 역사가 됐다.
#6.
화장한 종철의 유골을 강물에 뿌리던 날 한겨울 물가는 얼어있었다.
뼛가루가 자꾸만 얼음 주위에 고였다.
아버지는 허리까지 물에 잠긴 채 종철이 유해가 담겨있던 종이봉투를 강물 위에 띄웠다. “철아 잘 가그래이. 아부지는 아무 할 말이 없다이”
#7.
그 전까지 나는 종철이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질 것이라는 희망을 품지 못했다.
당시엔 종철이 말고도 서울대생 의문사가 많았다. 암흑이었다.
과연 누가 진실을 세상에 드러낼 수 있을까.
동아일보의 ‘물고문 도중 질식사’ 보도는 한 줄기 빛이었다.
#8.
영화 ‘1987’을 보면 당시 동아일보 사회부장이 칠판에 적힌 군사정권의 보도지침을 북북 지우며 기자들에게 “마음것 취재해서 갖고 와. 내가 책임진다.”라고 말한다.
1987년 당시 실감했던 동아일보의 기백을 영화를 통해 다시 한 번 느꼈다.
#9.
박종부 씨는 당시를 회상하며 “민주화는 종철이의 죽음이 없었더라도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었다. 하지만 종철이의 희생이 민주화를 앞당긴 것은 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또 영화 ‘1987’을 통해 “많은 분들에게 당시 진실을 전할 수 있어 다행” 이라고 말했습니다.
원본ㅣ 박종부 씨
사진 출처ㅣ동아일보 DB·cj 엔터테인먼트
기획·제작ㅣ김아연 기자·김채은 인턴
비즈N 탑기사
- 대통령실, 尹·참모들 매달 월급 10% 자동 기부
- 박봄, 한층 갸름해진 모습…씨엘·공민지와 함께한 일상
- 외식업 하는 유명 개그맨, 술 대금 못 갚아 강남 아파트 경매행
- ‘사업 문제로’ 후배 2명과 함께 지인 폭행한 40대 조폭 구속송치
- 트와이스 정연, 응급실行 일화…“똥이 가득 찼습니다”
- 송강호 “‘기생충’ 이후 성적? 결과 아쉽더라도 주목적은 아냐”
- ‘건강 이상설’ 박봄, 달라진 분위기…갸름해진 얼굴선
- 주원 “20㎏ 산소통 매고 마주한 큰불…극도의 긴장감 느꼈다”
- “여대 출신 채용 거른다” 커뮤니티 글 확산…사실이라면?
- “하루 3시간 일해도 월 600만원”…아이돌도 지원한 ‘이 직업’ 화제
- “청년 니트족, 일본만 문제 아니다”…한은의 섬뜩한 경고
- 이건희, ‘S급 천재’ 강조했는데…이재용 시대 “인재 부족”
- “65세 정년연장 비용 30조원…청년 90만명 고용할 돈”
- 점점 접히는 폴더블폰 시장…‘접는 아이폰’ 구원투수될까
- 퇴직연금, 5대 은행에 954억 순유입
- [신문과 놀자!/인문학으로 세상 읽기]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의 탄생… AI 윤리 기준은
- 백화점 ‘3조 메가점포’ 시대… 상위 3곳 매출이 절반
- 33년 역사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 이달 말 문 닫는다
- “이사철도 아닌데, 매물 없어요”…지방 아파트 ‘전세’ 씨 말랐다
- 건설업계 ‘불황 터널’… 자회사 팔고 부실사업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