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 높은 샤넬이 점찍었다”… 신개념 럭셔리 백화점 ‘신세계 더 헤리티지’에서는 무엇을 팔까
황소영 기자
입력 2025-04-11 09:00 수정 2025-04-11 09:00

더 헤리티지는 오픈과 동시에 고급 리테일 공간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았다. 단순한 명품 브랜드 집객 기능을 넘어 브랜드 체험과 미적 공간 구성,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복합적 전략이 동시에 구현됐다는 평가다.
더 헤리티지에서 가장 상징적인 브랜드는 단연 샤넬(CHANEL)이다. 샤넬은 5층 건물에서 1층과 2층 전체를 단독으로 사용했다. 덴마크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Bang & Olufsen)은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최초의 체험형 콘셉트 매장을 지하 1층에 마련했고 신세계의 자체 콘텐츠 플랫폼인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는 5층과 지하 1층에 각각 전통문화 기반 콘텐츠 공간과 공예 기프트숍을 운영 중이다.
“샤넬 백화점이 있다면 이런 모습”… 5개 층 중 1~2층이 샤넬

이번 부티크는 샤넬과 오랜 기간 협력해온 건축가 피터 마리노(Peter Marino)가 설계를 맡았다고 한다. 마리노는 전 세계 주요 샤넬 부티크 및 하우스의 공간 설계를 주도해온 인물로 이번 더 헤리티지 프로젝트에서는 보존 건축물의 역사성과 샤넬 하우스의 조형 언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설계했다.
외관은 기존의 석재 마감과 몰딩, 금속 프레임, 부조 타일 등 보존 건축의 주요 요소를 그대로 유지했으며 흰색 커튼월과 검은 프레임을 통해 샤넬 특유의 간결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남측과 북측에 각각 마련된 출입구는 외부 조망과 내부 동선 연결을 동시에 고려한 구조로 설계됐다.

부티크 내부는 의류와 핸드백, 슈즈, 액세서리, 시계 주얼리 등 샤넬의 전 제품군을 아우르며 각 섹션은 조명, 마감재, 가구 구성 등에서 상이한 분위기로 분할돼 있었다. 특히 워치·주얼리 전용 살롱은 응대 공간, 전시 구조, 조도 설계에서 고급화를 극대화한 구성이다.
공간 구성 외에도 이번 부티크에는 약 70여 점의 예술 작품과 오브제가 전시돼 있다. 이는 피터 마리노가 직접 큐레이션한 것으로, 요한 크레텐(Johan Creten)의 금박 세라믹 조각, 그레고르 힐데브란트(Gregor Hildebrandt)의 회화 작품, 리젠시 양식의 거울과 가구 등으로 구성됐다고 한다. 샤넬은 예술과 브랜드를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단순한 제품 판매가 아닌 정체성 전달의 공간으로 부티크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층 중앙부 천장에는 복원된 석고 몰딩 구조가 보존돼 있고 매장 전면과 내부 동선에 맞춰 조도와 반사광이 조율돼 있다.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공간 전체를 경험하며 동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단순한 매장이 아닌 ‘체류형 브랜드 건축’으로 작동하고 있는 셈이다.
샤넬 관계자는 “더 헤리티지 내 부티크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역사성과 샤넬 하우스의 조형 철학을 결합한 공간으로 한국 시장에서의 전략적 위상을 반영한다”며 “건축, 예술, 제품이 통합된 경험 제공이 이번 공간 설계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오디오계 샤넬 뱅앤올룹슨까지

‘이머스 존’에서는 고객 맞춤형 사운드 컨설팅 프로그램인 ‘아틀리에(Atelier)’가 운영되고 청음실에는 크바드라트(Kvadrat)사의 방음 패브릭 커튼과 흡음 패널이 설치됐다. 공간 내 가구와 벽체 마감은 북유럽식 감성을 반영해 목재와 패브릭 중심으로 구성됐는데 브랜드 정체성을 건축적으로 반영한 구조라는 점에서 체험형 리테일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는다.
가장 한국적인 신세계 ‘하우스오브신세계’

지하 1층 공간은 공예 기반 기프트숍으로 국내 장인 및 작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기획된 상품군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 전통의 공예 기법과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한 제품 구성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 수요와 기념품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공간이다.
5층은 전시형 디저트관 콘셉트의 공간으로 운영된다. 한국의 식문화와 전통소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설치형 콘텐츠가 구성돼 있으며, 다기, 전통 목기, 자수, 댕기, 섬유 공예 등이 주요 전시 테마다. 이 공간은 계절별 전시 및 원데이 클래스, 장인 초청 강연 프로그램 등과 연계돼 운영될 예정이다.
신세계 ‘더 헤리티지’ 3층은 아직 오픈을 준비 중이었다. 4층은 박물관형 전시 공간으로 조성됐고 일부는 전시를 준비 중, 일부는 전시공간을 개방했다. 해당 공간은 과거 제일은행 시절부터 이어진 건축 유산을 보존하는 동시에 신세계백화점의 기업사와 한국 유통 산업의 변천사를 기록한 디지털 기반 아카이브 공간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중심 콘텐츠는 신세계가 수집·소장해온 근현대 유통 관련 사료, 광고물, 매장 사진, 직원 교육자료 등이며, 일부는 인터랙티브 터치스크린을 통해 관람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됐다고 한다. 개관 전시로는 1930~1950년대 서울 남대문 일대와 명동, 신세계 본점 일대를 조명한 사진 아카이브 전시가 운영 중이다.
전시 공간에는 복원된 금고 문과 함께, 당시 사용됐던 원목 가구, 은행 장부 복제품 등도 설치돼 있으며, 관람객은 ‘더 헤리티지’의 건물 자체가 지닌 금융·상업 유산을 체감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업계 관계자는 “더 헤리티지는 단순 리테일 확장을 넘어 브랜드와 유통 플랫폼이 공간 기획 단계부터 협업하는 형태로 진화한 사례”라면서 “샤넬, 뱅앤올룹슨, 하우스 오브 신세계 등의 입점은 향후 백화점 리뉴얼 전략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