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
김수연 기자
입력 2023-12-08 03:00 수정 2023-12-08 11:44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집값 하락 영향 가구 자산 첫 감소
평균 5억2727만원… 순자산도 줄어
고금리에 부채 증가율 역대 최소… ‘하위 20%’ 가구 부채는 23% 급증
부동산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가구 평균 자산이 11년 만에 처음 뒷걸음질쳤다. 임대보증금을 중심으로 가구당 평균 부채는 소폭 상승했고, 특히 저소득 가구가 고금리에도 더 많은 빚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 원으로 전년 동기(5억4772만 원) 대비 3.7% 줄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같은 기간 부채는 0.2% 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도 전년 대비 4.5% 감소한 4억3540만 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이 감소한 건 집값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금융자산(1억2587만 원)은 1년 새 3.8% 늘었지만 실물자산(4억140만 원)이 5.9% 줄었다. 부동산 중 거주 주택 자산이 10% 감소한 탓이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지난해(9170만 원)보다 0.2% 증가한 9186만 원이었다. 고금리 장기화로 부채 증가율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금융부채(6694만 원)는 지난해보다 1.6% 감소했다. 하지만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월세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1인 가구도 증가하면서 임대보증금(2492만 원) 부담은 오히려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규모는 소득 수준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평균 부채(2004만 원)가 1년 전보다 22.7% 급증하면서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2분위(4432만 원)와 3분위(7443만 원)는 각각 3.7%, 3.0% 줄었고, 4분위(1억1417만 원)와 5분위(2억634만 원)는 각각 0.3%, 0.4% 늘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의 부채 보유액이 1억2531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억715만 원), 39세 이하(9937만 원), 60세 이상(6206만 원) 순이었다. 특히 29세 이하의 전체 부채액과 금융부채액이 각각 6.1%, 6.3% 감소했는데 자산은 8.6% 증가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고금리로 집을 처분하면서 29세 이하 연령층이 전월세로 이동하는 모습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거주 주택 등 실물 자산의 일부 항목이 줄어든 반면 전월세보증금과 저축액이 함께 늘면서 29세 이하의 금융자산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6762만 원으로 2021년(6470만 원)보다 4.5% 증가했다. 다만 세금과 이자 등으로 빠져나간 비소비지출(1280만 원)도 8.1% 늘었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5482만 원)은 3.7% 증가했다.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해 0.324로 1년 전보다 0.005포인트 하락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평등하다는 뜻인데 2011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는 0.383으로 0.005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인구 중 중위소득의 50%로 생활하는 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상대적 빈곤율도 지난해 14.9%로 1년 전(14.8%)보다 악화됐다.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집값 하락 영향 가구 자산 첫 감소
평균 5억2727만원… 순자산도 줄어
고금리에 부채 증가율 역대 최소… ‘하위 20%’ 가구 부채는 23% 급증
부동산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가구 평균 자산이 11년 만에 처음 뒷걸음질쳤다. 임대보증금을 중심으로 가구당 평균 부채는 소폭 상승했고, 특히 저소득 가구가 고금리에도 더 많은 빚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 원으로 전년 동기(5억4772만 원) 대비 3.7% 줄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같은 기간 부채는 0.2% 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도 전년 대비 4.5% 감소한 4억3540만 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이 감소한 건 집값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금융자산(1억2587만 원)은 1년 새 3.8% 늘었지만 실물자산(4억140만 원)이 5.9% 줄었다. 부동산 중 거주 주택 자산이 10% 감소한 탓이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지난해(9170만 원)보다 0.2% 증가한 9186만 원이었다. 고금리 장기화로 부채 증가율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금융부채(6694만 원)는 지난해보다 1.6% 감소했다. 하지만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월세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1인 가구도 증가하면서 임대보증금(2492만 원) 부담은 오히려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규모는 소득 수준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평균 부채(2004만 원)가 1년 전보다 22.7% 급증하면서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2분위(4432만 원)와 3분위(7443만 원)는 각각 3.7%, 3.0% 줄었고, 4분위(1억1417만 원)와 5분위(2억634만 원)는 각각 0.3%, 0.4% 늘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의 부채 보유액이 1억2531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억715만 원), 39세 이하(9937만 원), 60세 이상(6206만 원) 순이었다. 특히 29세 이하의 전체 부채액과 금융부채액이 각각 6.1%, 6.3% 감소했는데 자산은 8.6% 증가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고금리로 집을 처분하면서 29세 이하 연령층이 전월세로 이동하는 모습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거주 주택 등 실물 자산의 일부 항목이 줄어든 반면 전월세보증금과 저축액이 함께 늘면서 29세 이하의 금융자산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6762만 원으로 2021년(6470만 원)보다 4.5% 증가했다. 다만 세금과 이자 등으로 빠져나간 비소비지출(1280만 원)도 8.1% 늘었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5482만 원)은 3.7% 증가했다.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해 0.324로 1년 전보다 0.005포인트 하락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평등하다는 뜻인데 2011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는 0.383으로 0.005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인구 중 중위소득의 50%로 생활하는 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상대적 빈곤율도 지난해 14.9%로 1년 전(14.8%)보다 악화됐다.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비즈N 탑기사
- “모자로 안가려지네”…박보영, 청순한 미모로 힐링 여행
- 엄마 편의점 간 사이 ‘탕’…차에 둔 권총 만진 8살 사망
- 8시간 후 자수한 음주 뺑소니 가해자…한문철 “괘씸죄 적용해야”
-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가을편 새단장…윤동주 ‘자화상’
- 힐러리 “내가 못 깬 유리천장, 해리스가 깨뜨릴 것”
- ‘SNS 적극 활동’ 고현정…“너무 자주 올려 지겨우시실까봐 걱정”
- 개그맨 김경진, 부동산만 4채…‘국민 거지→23억 자산가’
- 조규홍 “전공의 추가모집 이제 없어…무조건 증원 재검토 힘들어”
- 제주 목장서 승마체험 중 벌 쏘임 사고…3명 병원으로
- 정해인 “‘베테랑2’ 제안에 너무 떨렸다…가슴 뜨거워져”
- “레고처럼 유전자 조립 ‘합성생물학’… 반도체 3배 규모 성장할듯”
- “경쟁력 높인 ‘사회적 기업’, 저출생-지역소멸 등 해결에 목소리”
- ‘빚의 늪’ 20대, 신용유의자 2년반새 25% 급증
- 서울 아파트 1~8월 거래액 45조… 작년 총액 넘어서
- [머니 컨설팅]결혼-출산 앞뒀다면 세법 개정안 챙겨야
- 부동산PF 강남서도 고전, 대기업 참여따라 양극화
- ‘통합 재건축’ 한다던 1기 신도시, ‘통합 의견’ 못 내 무산 속출
- “엄마, 회사에서 무슨 일 하는 거야?…연구실에서 만진 생선만 2톤”
- 한국어 빠진 애플-구글 AI… “AI 언어격차 우려”
- 저평가된 ‘K-기업’ 브랜드 가치… 외국社 111% 뛸때 韓 72%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