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생산자물가 0.3% 올라…기름값 내리자 ‘주춤’
뉴스1
입력 2022-08-25 07:00 수정 2022-08-25 07:01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한 달 전보다 0.3% 오르는 데 그치면서 주춤했다.
상승 폭이 지난 4월 정점을 찍은 이후로 3개월째 둔화되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2년 7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올랐다. 올해 1월 이후 7개월 연속 상승세다.
전월 대비 상승 폭은 4월(1.6%) 이후 5월(0.7%), 6월(0.5%) 등으로 낮아지고 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해서는 9.2% 상승하면서 여전히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생산자물가 상승 폭이 3개월째 둔화된 것은 국제 유가 등 일부 원자재 값의 하락 여파로 해석된다.
실제로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석유 제품을 비롯한 공산품이 총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한 모습이다.
지난달 공산품은 석탄·석유제품(-3.6%)과 1차금속제품(-2.9%) 등이 내리면서 전월비 0.6% 하락했다.
구체적으로는 전월 대비 경유가 -7.6%, 휘발유가 -12.6%, 동1차정련품이 -14.5% 떨어졌다.
총지수를 구성하는 나머지 큰 분류는 모두 전월비 상승했다.
특히 농림수산품이 한 달 새 4.1% 가장 많이 올랐다.
그 중에서 농산물이 11.9% 치솟으면서 축산물(-2.0%)과 수산물(-3.5%)의 내림세를 모두 상쇄했다.
여기에서 신선식품만 모을 경우 전월 대비 14.6%의 급등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론 시금치(204%), 배추(47%)의 오름 폭이 컸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전월 대비 3.9% 올랐다.
서비스는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1.3%), 운송 서비스(1.3%) 등이 오르면서 전월비 0.6% 상승했다.
이처럼 식료품·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상승세에 따라 식료품 및 에너지 이외 지수는 0.1% 오르는 데 그쳤다.
이달 생산자물가지수는 둔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서정석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국제 유가가 이달 1~23일 배럴당 95.4달러(두바이유 기준)로 7월 대비 약 7.5% 하락한 반면 달러·원 환율은 7월 대비 0.2% 상승했고 원자재 가격의 경우도 소폭 오른 모습”이라면서 “8월에는 공산품을 중심으로 둔화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사태 등 여러 변수가 있기에 단언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생산자물가는 이론적으로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현재 정부는 소비자물가가 오는 9~10월 정점을 친 뒤에 완화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7월 국내로 공급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7%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6월과 같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1.5% 올랐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추위 피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노인, 반나절 만에 구조
- 스티브잡스 ‘친필 사인’ 수표, 최종 낙찰가 4800만원
- “호랑이 입에 저게 뭐야?”…신발 물고있는 모습에 굴 들어가보니
- “하루 버티면 1300만원”…전기 끊긴 마트서 45일 생존 남성, 6억 벌었다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청약 1순위’ 되려면 청약통장 예치액 확인하세요[부동산 빨간펜]
-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사상 첫 감소…평균 순자산은 4억3500만원
- 치킨 튀기고, 수술 보조… 협동로봇, ‘일손’ 해결사로
- ‘LA 대신 서울’…일본 여행객 ‘엔저’에 연말연시 짠테크 해외여행
- 높은 집값, 이자 부담에…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쑥’
- 80만원대 준프리미엄급 ‘갤럭시 S23 FE’ 출시
- “‘킹산직’ 채용 또 온다”…현대차, 다음주 400명 추가 채용
- 2025년 말엔 곤돌라로 남산 오른다
- “카페라떼 가격 2년새 급등…매머드 29.4%, 빽다방 20% 큰 폭 올려”
- 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