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종부세 폭탄 걱정 없게… 재산세와 통합, 1주택자 면제”
윤다빈 기자
입력 2021-11-15 03:00:00 수정 2021-11-29 11:13:52
고지서 발송전 부동산 표심 잡기
“당선땐 종부세 전면 재검토… 양도세도 내려 주택 거래 촉진”
黨선 “세제개편 논의 시작할때… 尹공약, 선대위 구성후 종합검토”
국가대표 점퍼 입고 한국시리즈 관람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4일 오후 서울 구로구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두산 베어스와 KT 위즈의 1차전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윤 후보는 이날 파란색 국가대표팀 점퍼와 야구 모자를
쓰고 나타나 시민들과 주먹 인사를 나눴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4일 “대통령이 되면 종합부동산세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22일 종부세 고지서 발송을 앞두고 윤 후보가 ‘종부세 폭탄론’과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면제를 내세우면서 문재인 정부에 성난 부동산 민심을 파고든 것. 다만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면제 구상 등에 대해 국민의힘 지도부와 이견이 있는 만큼 윤 후보의 계획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당내에서 나온다.
그는 “종부세 대상자들에게 종부세는 그야말로 세금 폭탄일 수밖에 없다”며 “1주택 보유자들 중에는 수입이 별로 없는 고령층도 있다. 더구나 코로나 사태로 소득이 정체되거나 줄어든 사람도 많다. 이런 분들이 어떻게 고액의 세금을 감당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정부가 올해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율을 0.1∼0.3%포인트 상향 조정하고, 다주택자 종부세율을 0.6∼2.8%포인트 대폭 올리면서 나온 ‘종부세 폭탄’ 우려를 거론하고 나선 것이다. 윤 후보 측 관계자는 “종부세 부과를 앞둔 시점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원내에 입법을 촉구한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또 “국민의 급격한 보유세 부담 증가를 해소하고, 양도소득세 세율을 인하해 기존 주택 거래를 촉진하고 가격 안정을 유도하겠다”며 “공시가격 인상 속도를 낮춰 보유세가 급등하는 것을 막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1가구 1주택자에 대해서는 매각하거나 상속할 때까지 납부를 유예하는 제도의 도입을 고려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아예 종부세를 재산세에 통합하거나 1주택자에 대해서는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 캠프에서 경제 분과 간사를 맡았던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보유세, 양도소득세 부담 완화는 입법 과정에 시간이 좀 걸릴 수는 있지만 (집권할 경우) 즉각 추진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추경호 원내수석부대표는 통화에서 “종부세가 대한민국에만 유일하게 있는 세제인 만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다”며 “이미 보유세 부담 완화에 대해서는 많은 법안이 나와 있는 만큼 국회에서 논의할 시기가 됐다”고 했다. 다만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을 비롯해 1주택자에 대한 완전 폐지 문제까지 법안이 마련된 상태는 아니다”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올해 5월 부동산 정책을 발표할 당시 종부세의 1가구 1주택자 감면 기준을 기존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1주택 고령자·장기보유자의 공제율을 최대 90%까지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1주택자 종부세 전면 폐지와 재산세와의 통합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국민의힘 원내 핵심 관계자는 “당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고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며 “당장 종부세 세율 개편만 해도 더불어민주당이 미온적 반응인 만큼 현재 여대야소 국회 지형에서는 쉽지 않은 과제”라고 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당선땐 종부세 전면 재검토… 양도세도 내려 주택 거래 촉진”
黨선 “세제개편 논의 시작할때… 尹공약, 선대위 구성후 종합검토”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4일 “대통령이 되면 종합부동산세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22일 종부세 고지서 발송을 앞두고 윤 후보가 ‘종부세 폭탄론’과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면제를 내세우면서 문재인 정부에 성난 부동산 민심을 파고든 것. 다만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면제 구상 등에 대해 국민의힘 지도부와 이견이 있는 만큼 윤 후보의 계획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당내에서 나온다.
○ 尹 “종부세는 문제 많은 세금”
윤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기본적으로 종합부동산세는 문제가 많은 세금”이라며 “내년 이맘때면 종부세 폭탄 맞을까 봐 걱정 안 해도 되게 하겠다”고 했다. 그는 “종부세 대상자들에게 종부세는 그야말로 세금 폭탄일 수밖에 없다”며 “1주택 보유자들 중에는 수입이 별로 없는 고령층도 있다. 더구나 코로나 사태로 소득이 정체되거나 줄어든 사람도 많다. 이런 분들이 어떻게 고액의 세금을 감당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정부가 올해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율을 0.1∼0.3%포인트 상향 조정하고, 다주택자 종부세율을 0.6∼2.8%포인트 대폭 올리면서 나온 ‘종부세 폭탄’ 우려를 거론하고 나선 것이다. 윤 후보 측 관계자는 “종부세 부과를 앞둔 시점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원내에 입법을 촉구한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또 “국민의 급격한 보유세 부담 증가를 해소하고, 양도소득세 세율을 인하해 기존 주택 거래를 촉진하고 가격 안정을 유도하겠다”며 “공시가격 인상 속도를 낮춰 보유세가 급등하는 것을 막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1가구 1주택자에 대해서는 매각하거나 상속할 때까지 납부를 유예하는 제도의 도입을 고려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아예 종부세를 재산세에 통합하거나 1주택자에 대해서는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 캠프에서 경제 분과 간사를 맡았던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보유세, 양도소득세 부담 완화는 입법 과정에 시간이 좀 걸릴 수는 있지만 (집권할 경우) 즉각 추진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 국민의힘, 종부세 폐지에는 온도차
국민의힘은 그간 종부세 개편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해 온 만큼 윤 후보의 문제 제기와 함께 세제 개편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 및 1주택자 종부세 전면 폐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추경호 원내수석부대표는 통화에서 “종부세가 대한민국에만 유일하게 있는 세제인 만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다”며 “이미 보유세 부담 완화에 대해서는 많은 법안이 나와 있는 만큼 국회에서 논의할 시기가 됐다”고 했다. 다만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을 비롯해 1주택자에 대한 완전 폐지 문제까지 법안이 마련된 상태는 아니다”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올해 5월 부동산 정책을 발표할 당시 종부세의 1가구 1주택자 감면 기준을 기존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1주택 고령자·장기보유자의 공제율을 최대 90%까지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1주택자 종부세 전면 폐지와 재산세와의 통합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국민의힘 원내 핵심 관계자는 “당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고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며 “당장 종부세 세율 개편만 해도 더불어민주당이 미온적 반응인 만큼 현재 여대야소 국회 지형에서는 쉽지 않은 과제”라고 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비즈N 탑기사
- ‘대학교 도서관 폭탄 설치’ 거짓글 올린 20대, 집행유예
- 올 여름 평년보다 덥다는데…초유의 폭염 올까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70대에 두 번째 전기차를 운전하시는 장모님
- 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 “은퇴후 제2의 삶… 취미-적성 미리 찾고, 꾸준히 준비하라”
- 영양제 먹는 방법 왜 똑같을까? 개인 컨디션따라 맞춤 조제
- 사상 최악 적자낸 한전…나랏돈으로 손실 메우나
- ‘앞으로 1년 경제’ 물었더니…국민 40% ‘악화’ 25% ‘좋아질 것’
- 지프, 부분변경 거친 ‘컴패스’ 사전계약… “엔트리→프리미엄 콤팩트 SUV 도약”
- [단독]현대차-高大 “미래차 인력 양성”… 5년제 학-석사 통합학과 만든다
- 고유가에 3월 휘발유·경유 소비량 줄었다…“4월엔 더 감소”
- 원자잿값 급등에 전기차 배터리가격도 오른다…“4년내 22%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