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우선’ 美-유럽 백신 싹쓸이… 글로벌 백신부족 장기화 조짐

이지운 기자 , 유근형 기자 , 김소민 기자

입력 2021-03-15 03:00 수정 2021-03-15 11:2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코로나19]
美, 5월까지 3억명분 추가 확보… 캐나다 인구 6배규모 물량 계약
EU는 역외수출 금지규정 만들어… 전세계 백신계약은 147억 회분
연말까지 생산량 110억 회분 추정… 한국, 2분기 310만명분 차질 우려



미국 존슨앤드존슨(얀센)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12일(현지 시간) 세계보건기구(WHO)의 긴급 사용승인을 받았다. 앞서 미국 정부는 10일 얀센 백신 1억 회분 추가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바로 다음 날 유럽연합(EU)도 얀센 백신 사용을 승인하며 물량 확보에 나섰다.

최근 미국과 유럽이 백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철저히 ‘자국 우선주의’에 맞춰져 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초기 나타났던 각국의 ‘백신 쟁탈전’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조기 집단면역 위한 백신 확보전 치열

13일(현지 시간) 미 CNN에 따르면 조 바이든 행정부는 5월 말까지 화이자와 모더나, 얀센 백신을 각각 1억 명분씩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총 5억 회분이다. 미국은 자국의 ‘백신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00만∼1500만 명분도 그냥 쌓아두고 있는 상태다. EU가 해당 비축분을 공급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미국은 거절했다. 당초 아스트라제네카는 1분기(1∼3월) 중 EU에 최대 5000만 명분의 백신 공급을 약속했지만, 생산설비 문제로 실 공급량이 590만 명분에 그쳤다.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은 최근 “수많은 국가들이 미국에 백신을 요청하고 있지만 누구에게도 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미국은 최근 멕시코의 백신 요청도 거절했다.

EU 역시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선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분위기다. EU는 올 1월 말 ‘백신 수출통제 규정’을 만들었다. EU와 계약한 백신 공급량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EU에서 생산한 백신의 역외 수출을 불허하는 내용이다. 이탈리아 정부는 이 규정을 적용해 최근 자국에서 생산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2만5000명분의 호주 수출을 금지했다.

○ 생산량 부족에 계약 쏠림까지

화이자는 최근 2021년 코로나19 백신 생산 목표치를 당초 20억 회분에서 23억∼24억 회분으로 높여 잡았다. 2022년부터 연간 30억 회분을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도 올 한 해 각각 30억, 20억 회분 생산을 목표로 설정했다.

하지만 이렇게 목표치를 높여도 각 제약사가 실제 백신 생산을 맞출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제약업계에서는 올해 생산이 가능한 백신 물량이 최대 약 110억 회분 정도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계약된 코로나19 백신 물량(147억 회분·미 듀크대 조사)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각 제약사가 실제로 생산설비 증설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특정 국가 쏠림 현상도 글로벌 수급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캐나다는 이미 전 국민을 6번 맞힐 수 있는 백신 물량을 계약했다. 미국도 계약 물량이 인구의 5.5배에 이른다. 한국은 인구의 1.35배 수준의 백신 계약을 체결했다.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국제 백신 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받는 물량을 합쳐도 인구의 1.5배 남짓에 그친다.

○ 국내도 310만 명분 추가 확보해야

정부는 6월 말까지 1200만 명의 1차 접종을 마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국내 도입 시기와 물량이 확정된 건 889만3500명분이다. 아직 비어 있는 약 310만 명분 도입을 최대한 빨리 성사시키지 못하면 2분기(4∼6월) 중에 ‘백신 보릿고개’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걱정스러운 건 변이 바이러스 변수다. 현재까지 나온 주요 백신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이 20∼50%대에 그친다. 변이 바이러스가 더 퍼질 경우 백신 구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이 글로벌 제약사들이 필요로 하는 생산시설을 제공하는 대신 백신 추가도입을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선 SK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 녹십자도 모더나 등과 위탁생산 계약을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운 easy@donga.com·유근형·김소민 기자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