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SM3 Z.E.’ 전기차 수준 한 단계 더… 장단점 모든 것
동아경제
입력 2013-11-16 08:00 수정 2013-11-16 12:30

#출발부터 최대토크 뿜어내며 미끄러지듯 달려

차를 움직이기 위해 전원 버튼을 누르자 엔진소리 대신 계기판에 조명이 켜졌다. 차가 움직일 준비가 됐다는 신호다. 기어를 드라이브(D) 모드로 바꾸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자 차가 미끄러지듯 움직였다. 지하철이 처음 출발하는 느낌과 비슷했다.
주차장을 빠져나와 반듯한 도로에 들어서자마자 가속페달을 깊게 밟았다. 순간 ‘끼~익’하는 소리와 함께 휠 스핀이 일어나면서 튀어나가듯 속도가 붙었다. 어지간한 내연기관 자동차를 뛰어넘는 가속감이다. 일반 차량은 엔진회전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만 최대토크가 발휘되지만, 전기차는 출발부터 최대토크를 뿜어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속 70km 부근을 지나면서부터 속도가 더디게 올라갔다. SM3 Z.E.는 정지에서 시속 50km까지 4.1초에 도달해 가솔린엔진을 장착한 SM3 1.6보다 1.8초나 빠르다. 하지만 고속으로 갈수록 가속이 더뎌 100km/h까지는 11.5초가 걸린다.
#고용량 배터리 5년·10만km 보증

그 외 전체적인 승차감은 SM3 1.6 모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커브길을 고속으로 주행하자 차가 출렁거리고 떠다니는 느낌이 있었는데, 이는 타이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는 주행 성능을 생각하기보다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회전저항이 낮은 타이어를 장착한다.

#토크감은 어지간한 중형세단 이상

이 차는 한 번 충전하면 평균 135km를 달릴 수 있다. 그러나 급가속을 반복하고 고속으로 장시간 주행하면 거리는 급격히 짧아진다. 실제로 이날 거친 시승을 끝내고 측정한 실제 주행가능거리는 110km 내외였다.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는 한 겨울에는 배터리 소모가 커 주행가능거리는 더욱 짧아진다.

에너지소비효율은 4.4km/kWh(도심 4.8km/kWh, 고속도로 4.0km/kWh)이다. 전기요금은 일반용과 별도로 계산하고 누진제 적용을 받지 않는다. 르노삼성 측은 “같은 주행거리를 달릴 때 동급의 가솔린차보다 연료비가 6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정부 보조금 받으면 2000만원 내외 구입 가능

판매가격은 4300만 원이지만, 환경부(1500만 원)와 지방자치단체(제주도의 경우 800만 원)의 보조금을 받으면 2000만 원 내외에 구입이 가능하다. 취득세와 등록세 감면 혜택까지 감안하면 실질적인 구입비는 더 떨어진다.
르노삼성차는 내년에 4000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전기차 보급 속도는 배터리의 발전 속도와 맥을 같이 한다. 전문가들은 1회 충전에 400km이상 달리고 배터리의 무게를 지금의 절반 수준인 150kg 내외로 줄일 수 있다면,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신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조창현 동아닷컴 기자 cch@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