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삼부토건 다음은?…건설사 ‘도미노 부도’ 위기 확산

뉴시스(신문)

입력 2025-03-12 06:27 수정 2025-03-12 06:2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올해 건설사 7곳 법정관리 신청…중소·중견 건설사 유동성 위기 심각
“고금리·미분양 증가”…발주자 적정 공사비 산정 책임 법적 근거 필요


24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돼있다.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제하는 노동자들이 24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 2024.06.24. [서울=뉴시스]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과 삼부토건 등 법정관리(회생절차)를 신청한 건설사가 7곳에 달하면서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회와 공사비 급등, 고금리, 미분양 주택 증가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대형 건설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올해 들어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휘청이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의 신동아건설과 경남지역 2위 건설사인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등 중소·중견 건설사 7곳이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28일 기준)까지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는 총 109곳으로 집계됐다. 하루에 종합건설사 1.8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9곳)과 비교하면 30곳이 늘며 2011년(112곳) 이후 최고치다. 또 지난해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는 총 641건으로,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토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28일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7만173가구) 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말에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2014년 이후 약 10년 만에 2가구를 넘어섰다. 지난달에는 6.5% 증가한 2만2872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대우조선해양건설의 부채비율은 838.8%, 삼부토건 838.5%, 신동아건설은 428.8%에 달한다. 건설업계에선 통상 부채비율이 200%를 넘기면 위험 수준으로 보고 있다. 400%를 넘기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판단한다.

건설업계에선 법정 관리를 신청하는 중소·중견건설사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이 위험순위를 넘긴 한양산업개발(91위)과 이수건설(85위), 대방산업개발(77위), 동원건설산업(65위) 등이 거론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한양산업개발과 이수건설의 부채비율은 각각 820%, 817%다. 같은 기간 한양산업개발 부채비율은 전년(603%) 대비 217%p 급증했고, 대방산언개발과 동원건설산업의 부채비율은 각각 513%, 344%에 달한다.

지난해 부도난 건설사가 2019년 이후 최대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난 건설업체(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 말소된 업체 제외)는 총 29곳으로 집계됐다. 이다. 이는 전년 (21곳) 대비 늘어난 것으로, 2019년(49곳) 이후 가장 많다.

대구의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건설 원자잿값 급등을 비롯해 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공사 미수금까지 쌓이면서 당장 내일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다”며 “재무 건전성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토로로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업계의 원가 상승을 고려해 적절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나경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최근 건설산업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위기에서 3고(고환율·고물가·고금리) 지속,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증가로 원자재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으로 곳곳에서 공사비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며 “주택·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지 못하고 건설 매출과 수익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폐업 및 부도 건설업체가 증가하는 등 건설업계가 심각한 붕괴 위기에 처해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정 공사비를 보장하지 않는 한 건설산업은 지속 가능할 수 없다”며 “발주자가 적정 공사비 산정 책임을 지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하고, 물가 변동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