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표면 모습이 생생…천문연-삼성전자 달 착륙지도 배포
동아일보
입력 2014-12-16 11:49 수정 2014-12-16 11:52
한국천문연구원은 삼성전자과 함께 만든 ‘달 착륙지도’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전국 초·중·고교에 배포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지도에는 1966년 달에 처음 착륙한 옛 소련의 루나 9호부터 중국의 무인 달 탐사차 ‘옥토끼’까지 20개 탐사선의 착륙 지점이 표시돼 있다. 또 달 표면의 바다 22개와 산맥 11개, 운석구덩이 47개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지도 제작에 사용된 사진은 삼성전자가 설계·제작한 망원렌즈와 스마트카메라 NX 시리즈로 촬영한 것이다. 지난 5월부터 4개월에 걸쳐 천문연과 삼성전자 소속 연구원들이 이 사진들을 직접 촬영하고 편집했다.
최영준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달은 인류가 가장 많이 탐험한 천체이자 미래 자원의 보고”라며 “한국도 달 탐사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달 착륙지도를 보고 꿈을 키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지도는 천문연 홈페이지(kasi.re.kr)와 삼성전자 카메라블로그(samsungtomorrow.com)를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24일까지 천문연에 신청하는 학교는 인쇄된 자료를 우편으로 받을 수 있다.
최영준 동아사이언스기자 jxabbey@donga.com
이 지도에는 1966년 달에 처음 착륙한 옛 소련의 루나 9호부터 중국의 무인 달 탐사차 ‘옥토끼’까지 20개 탐사선의 착륙 지점이 표시돼 있다. 또 달 표면의 바다 22개와 산맥 11개, 운석구덩이 47개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지도 제작에 사용된 사진은 삼성전자가 설계·제작한 망원렌즈와 스마트카메라 NX 시리즈로 촬영한 것이다. 지난 5월부터 4개월에 걸쳐 천문연과 삼성전자 소속 연구원들이 이 사진들을 직접 촬영하고 편집했다.
최영준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달은 인류가 가장 많이 탐험한 천체이자 미래 자원의 보고”라며 “한국도 달 탐사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달 착륙지도를 보고 꿈을 키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지도는 천문연 홈페이지(kasi.re.kr)와 삼성전자 카메라블로그(samsungtomorrow.com)를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24일까지 천문연에 신청하는 학교는 인쇄된 자료를 우편으로 받을 수 있다.
최영준 동아사이언스기자 jxabbey@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줄지어 놓인 새 학기 교과서들
- 대우건설, 임직원 자녀 초청 영어캠프 개최
- 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새학기 앞둔 대학가 ‘어쩌나’
- 구직난 가중…취준생 과반 “어디든 취업만 되면 OK”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9000건→3000건→1000건…서울 아파트 ‘거래 가뭄’ 덮쳤다
- 반도건설, 2025년 동절기 현장 임직원 대상 직무교육
- 서울 vs 지방 부동산시장 양극화…풍부한 개발호재 갖춘 ‘서울원 아이파크’ 주목
- “올해 소비시장, 생존이 먼저”…불황형 소비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