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투자 22조원…10년 만에 최대

뉴시스(신문)

입력 2025-02-21 12:09 수정 2025-02-21 12:10

prevnext

|
폰트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오피스 거래가 전체 83% 차지…4조3520억원

ⓒ뉴시스

2024년 국내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가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에 따르면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누적 거래규모는 22조원으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저금리 기조의 정점에 있던 2021년의 21조원을 뛰어넘는 수치이며, 전년 대비 약 49% 상승했다.

2024년 4분기 투자 규모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한 5조268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오피스 거래 규모가 약 4조3520억원으로 전체 거래 규모의 약 83%를 차지했다. 이번 분기에는 특히 도심권역의 NH농협리츠운용이 매입한 디타워돈의문, 미국계 투자자 누빈이 투자한 정동빌딩과 여의도권역의 NH농협캐피탈빌딩 등의 코어 자산 거래가 거래 규모 증가에 기여했다.

4분기 오피스 시장은 공실률과 임대료에서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의 공실률은 전 분기 대비 약 0.3%포인트(p) 하락한 2.4%로 1분기 이후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던 공실률이 소폭 하락 전환했다.

명목 임대료는 1㎡당 3만8119원으로 일부 자산을 중심으로 2025년 인상률이 선반영되면서 전 분기 대비 1.9% 상승했고, 실질 임대료 역시 약 1.8% 상승해 1㎡당 3만6045원을 기록했다.

물류 시장 거래 규모는 약 3747억원 수준으로 A급 코어 자산 거래가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이번 분기에는 총 10개의 신규 A급 자산이 116만5274㎡ 규모로 공급됐고, 이 중 인천 도화 물류센터, 로지스포인트 김포 SMART 물류센터 등 약 54%가 서부 권역에 집중됐다.

수도권 A급 물류 시장의 공실률은 상반기 대비 2.3%p 증가한 약 23%를 보였으며, 상온과 저온은 각각 17%, 41%를 기록했다.

리테일은 약 4217억원 규모로 중소형 자산의 기업 및 개인 간 거래가 주를 이뤘다. 4분기 내 두 차례의 금리 인하로 내수 성장이 기대됐지만,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환율 급등, 외국인 관광객 감소, 소비 심리 위축 등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해 소비 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 하락했다.

반면, 호텔 시장은 디어스명동호텔, L7 강남 등의 주요 거래로 약 1200억원 규모를 보였으며, 회복세를 보이는 외국인 관광객과 현재 진행 중인 다수의 호텔 거래에 힘입어 향후 거래 규모는 확대될 전망이다.

최수혜 CBRE 코리아 리서치 총괄 상무는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대형 오피스 자산의 선매입을 포함해 진행되던 다수의 딜이 성공적으로 종결되며 견고한 투자 규모에 기여했다”며, “올해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견고한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매도자 및 매수자 간 가격 기대감 불균형과 자산의 성격에 따른 변동성이 관찰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0 / 300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