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못지않네”…동탄 20억 찍고 과천 30억 육박
뉴스1
입력 2023-09-20 10:57 수정 2023-09-21 16:29

서울의 아파트값이 숨 고르기 국면에 진입한 사이 동탄신도시와 과천·하남 등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외곽 지역보다 오히려 경기도 신도시의 거주 여건이 더 낫다는 실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동탄역 롯데캐슬’ 전용면적 102㎡는 지난달 26일 20억원에 거래됐다. 같은 평형이 7월 17억5000만~18억원에 거래됐는데 한 달 사이 최소 2억원 이상 오른 셈이다.
이 단지는 SRT 동탄역을 끼고 있는 초역세권 단지로 내년 상반기 개통 예정인 GTX-A 노선이 집값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GTX-A 노선이 개통하면 동탄역에서 서울 강남구 삼성역까지 30분이면 도착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경기도 내에서 GTX 노선이 지나거나 택지 지구 개발, 강남 인접 여부 등에 따라 집값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동탄역 인근 아파트가 20억원에 거래된 것은 GTX 중 개통이 가장 빠른 GTX-A 노선이 지나는 영향이 가장 커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연합지구)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것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동탄 내에서도 일부 단지에 국한된 상승 거래인 만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강남과 바로 인접한 과천의 집값 상승세도 뚜렷하다. 과천은 4호선을 이용해 10분이면 강남권 진입이 가능한 ‘준강남’으로 불린다.
과천시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 전용 120.9㎡는 지난달 7일 27억9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전용 131.9㎡는 지난 7월 28억90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과천시 원문동 ‘과천위버필드’ 전용 111.9㎡도 지난달 2일 27억원에 팔리는 등 대형 평형은 어느덧 30억원에 육박한다.
최근 집값 추세를 보면 서울보다 경기도 주요 지역의 상승률이 더 두드러진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이달 11일 기준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증감률은 0.074%지만 과천시 0.520%, 성남시 0.168%, 광명시 0.123%, 하남시 0.117%, 화성시 0.104% 등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 중랑구 -0.074%, 도봉구 -0.023%, 노원구 -0.001% 등은 내림세를 보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지역의 집값이 강세를 보인다”며 “투자자나 실수요자 중 서울의 외곽 지역에 있는 아파트보다 교통이나 일자리 등 거주 여건을 갖춘 경기도 성남시 분당, 판교, 과천, 동탄 등 아파트가 낫다는 의견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