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성장률 올린 IMF…‘한국 2%→1.7%’ 낮췄다

뉴스1

입력 2023-01-31 10:39 수정 2023-01-31 11:45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23년 1월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기획재정부 제공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3개월 전보다 0.3%포인트(p) 내린 1.7%로 수정했다. 주요 기관 중 유일하게 2%대 성장률을 유지하던 IMF마저 한국 성장률을 1%대로 낮춘 것이다.

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은 중국의 리오프닝(경기 재개)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0.2%p 상향해 2.9%로 내다봤다.

IMF는 31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계경제전망(WEO)’을 발표했다.

IMF의 올해 한국 성장률 조정 폭(-0.3%p)은 -0.9%p 내린 영국(0.3%→-0.6%)보다는 작다. 하지만 세계 경제성장률은 물론 미국(1.0%→1.4%)·유로존(0.5%→0.7%)·일본(1.6%→1.8%) 등 선진국 성장률을 대부분 상향한 것과는 비교가 된다.

한국의 2%대 성장률 전망을 유지하던 IMF가 이번에 1%대로 낮춘 것은 지난해 말부터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과도 맥이 닿는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1.6%로 낮췄다. 한국은행도 전망치를 2.1%에서 1.7%로 조정한 데 이어 최근엔 이보다 더 낮출 수 있다고 밝힌 상태다. 국제금융센터가 이달 초 공개한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 9곳의 평균 전망치는 1.1%까지 낮아졌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지난 10월보다 0.2%p 올린 2.9%로 내다보면서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미국, 유로 등 주요국의 예상 외 견조한 소비·투자 등을 이유로 들었다.

국가 그룹별로 볼 때 올해 선진국 경제 성장률은 기존보다 0.1%p 올린 1.2%로, 신흥국은 0.3%p 올린 4.0%로 전망했다.

IMF는 선진국에 대해선 “미국은 견조한 내수, 유로는 에너지 도매가격 하락, 일본은 지속적인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 영향으로 성장률을 소폭 상향했다”고 한 반면, 영국에 대해선 “긴축적 재정·통화 정책과 금융여건 악화로 대폭 하향했다”고 밝혔다.

신흥국과 관련해선 “중국(4.4%→5.2%)은 리오프닝, 인도는 강한 내수(6.1% 유지), 러시아(-2.3%→0.3%)는 예상보다 약한 경기 위축, 멕시코(1.2%→1.7%)는 견조한 국내외 수요 회복으로 인해 상향했다”며 “반면 사우디(3.7%→2.6%)는 2023년 OPEC+의 감산결정을 반영해 성장률 대폭 하향한다”고 했다.

IMF는 올해 세계 물가상승률에 대해선 지난 10월보다 0.1%p 올린 6.6%로 전망했다. 내년도 물가상승률은 0.2%p 상향한 4.3%로 전망했다.

IMF는 “긴축 통화정책과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국제 연료 가격·상품 가격 하락 여파로 인플레이션은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근원물가지수의 경우 견조한 소비로 인한 강한 임금상승률과 경직적인 노동시장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은 정점을 지나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IMF는 지난 경제전망 때보다 세계적 경기 하방 위험은 일부 완화됐지만 여전하다고 봤다. 구체적 요인으로는 △중국 리스크 △인플레이션 △부채 △경제분절화 등을 꼽았다.

IMF는 “중국의 경우 낮은 백신접종률, 부족한 의료시설 등에 따른 경제 회복 제약과 부동산업 위기 심화 가능성이 있다”며 “러시아 전쟁과 중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에너지가격 상승,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으로 인플레이션 지속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또 “국채 스프레드가 일부 축소됐지만, 여전히 높은 부채 수준과 저성장, 높은 차입비용은 신흥국에 대한 경제 위협 요인”이라며 “러시아 전쟁과 제재,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블록화 및 지정학적 긴장 심화는 다자협력 및 글로벌 공공재 공급에 제약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IMF는 세계 각국 정부를 향해 “인플레이션 대응을 최우선으로 하고, 경제분절화 대응 및 저소득국 채무재조정 등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통화 정책에 대해선 “근원인플레이션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 또는 유지하고, 중앙은행 대차대조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 재정 정책과 관련해 “점진적인 재정 긴축으로 통화정책 부담을 경감하고,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 지원 강화해야 하며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