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빅스텝시 가구당 이자부담 50만원 늘어”
뉴시스
입력 2022-09-22 11:55 수정 2022-09-22 11:55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면 가구당 평균 이자 부담이 연 50만2000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2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9월 금융안정보고서’를 의결했다.
한은은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이자부 금융부채 및 금융자산 규모를 감안할 때 금리가 한번에 0.5%포인트 상승시 연간 이자수지 적자규모가 가구당 평균 50만2000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이자수지 적자규모 50만2000원은 금리가 상승시 늘어나는 이자수입 19만9000원에서 내야하는 이자비용 70만1000원을 뺀 액수다.
한은은 “소득수준을 함께 감안할 경우 금리상승에 따른 가계 전반의 이자수지 악화는 제한적이나, 저소득가구의 부담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금리가 0.5%포인트 오를 경우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이자수지 적자 비율은 -9.9%에서 -10.8%로 떨어지는 등 평균 0.9%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1분위의 경우 이미 이 비율이 -20%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금리 인상시 여타 가구에 비해 더 크게 악화(-20.9%→-22.9%)할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은 또 부채가 누증된 상황에서 주가 하락과 함께 가계 자산의 대부분(86%)을 차지하는 부동산 가격이 빠르게 조정될 경우 모든 소득계층에서 부채 대응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가격이 2022년 6월말 수준에서 20% 하락하는 경우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부채 대비 평균 총자산(4.5배)과 부채 대비 순자산(3.5배) 비율은 각각 3.7배, 2.7배로 낮아졌다.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의 증가는 모든 계층에서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고, 이들 가구의 순부채규모는 고소득가구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가격 20% 하락시 고위험가구 비중은 평균적으로 1.1%포인트 상승해 3.2%에서 4.3%로 상승하는데 그치지만, 고위험 가구의 순부채규모는 현재의 1.5배(1분위)~1.9배(5분위)로 증가했다.
한은은 “부동산가격 하락폭이 커질수록 부채규모가 큰 고소득·고위험가구의 순부채규모가 더 크게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삼성전자, 전력효율 70% 높인 D램 모듈 첫 개발
- “웰컴 유커” 오전엔 전통문화, 오후엔 K뷰티 체험해볼까
- 블록 분류하고 한발 요가… 테슬라 AI로봇, 인간에 더 가까이
- ‘혼추족’ 마음 달랠, 풍성한 도시락
- 가계대출 1인당 빚, 年소득의 3배… 청년 대출 급증
-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세달 연속 50% 웃돌았다…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공공주택 12만채 건설… 공급속도 높인다
- 1~7월 근로자 실질임금 1년 전보다 5만3천원↓…고물가 여파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 대단지 3만4920가구 분양
- 7월 출생아수, 2만명선 무너져 ‘역대 최저’…인구 45개월 연속 자연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