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10명 중 6명 “결혼·출산 필요 없다”… 男 ‘돈’, 女 ‘양가 갈등’ 부담
뉴시스
입력 2019-06-18 08:16:00 수정 2019-06-19 11:16:54
남성보단 여성, 30대보다는 20대에게서 ‘결혼 기피율’ 더 높아

2030세대의 10명 중 6명은 ‘결혼과 출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생각에는 금전적인 문제와 결혼생활에 대한 부담, 자녀교육 등 복합적인 배경이 얽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이 20ㆍ30대 회원 9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먼저 응답자들에게 (본인의 결혼/출산 여부와 관계없이) 결혼/출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4.8%로 나타난 데 반해, ‘불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힌 응답자는 65.2%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결혼과 출산을 필수로 보지 않는 경향은 30대 응답자(60.5%)보다는 20대 응답자(70.6%)에게서, 남성 응답자(56.5%)보다는 여성 응답자(74.1%)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생각의 기저에는 ‘돈 문제에 대한 부담’이 크게 깔려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출산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묻자 ▲금전적인 문제(25.3%)를 1순위로 지목했기 때문이었다. 이어 양가와의 갈등에 따른 ▲결혼 생활/문화에 대한 부담(20.1%)과 ▲자녀 교육/미래에 대한 불안(13.7%) ▲일과 가정의 불균형(12.8%) ▲육아휴직 등 제도 미비(9.5%)와 같은 문제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남녀 성별에 따라 부담을 느끼는 순위에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결혼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가장 큰 원인으로 ‘금전적 문제(39.7%)’를 꼽은 데 비해, 여성은 ‘결혼 생활과 문화에 대한 부담(26.1%)’을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그렇다면, 2030세대는 신혼부부 임대주택이나 저금리 대출, 출산/육아지원금 등 결혼/출산 과정에서의 사회보장제도 확대와 이에 따른 세금 부담 증가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20대와 30대, 남성과 여성은 약간씩의 차이는 보였으나 대체로 과반의 비율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전체 응답자 중 찬성 의견을 가진 응답자 비율은 63.2%였다.
한편, ‘자녀 양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가 무엇일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대와 30대, 남녀 응답자 다수가 ‘일과 가정의 양립(32.3%)’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답했고, 그 외에도 ‘주거 안정(22.3%)’, ‘임금인상(13.6%)’, ‘직장 내 양성평등(13.4%)’ 등의 기타 답변이 나와 결혼/출산 정책에 대한 정부 정책에 가이드를 제시해줬다.
【서울=뉴시스】

2030세대의 10명 중 6명은 ‘결혼과 출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생각에는 금전적인 문제와 결혼생활에 대한 부담, 자녀교육 등 복합적인 배경이 얽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이 20ㆍ30대 회원 9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먼저 응답자들에게 (본인의 결혼/출산 여부와 관계없이) 결혼/출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4.8%로 나타난 데 반해, ‘불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힌 응답자는 65.2%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결혼과 출산을 필수로 보지 않는 경향은 30대 응답자(60.5%)보다는 20대 응답자(70.6%)에게서, 남성 응답자(56.5%)보다는 여성 응답자(74.1%)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생각의 기저에는 ‘돈 문제에 대한 부담’이 크게 깔려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출산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묻자 ▲금전적인 문제(25.3%)를 1순위로 지목했기 때문이었다. 이어 양가와의 갈등에 따른 ▲결혼 생활/문화에 대한 부담(20.1%)과 ▲자녀 교육/미래에 대한 불안(13.7%) ▲일과 가정의 불균형(12.8%) ▲육아휴직 등 제도 미비(9.5%)와 같은 문제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남녀 성별에 따라 부담을 느끼는 순위에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결혼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가장 큰 원인으로 ‘금전적 문제(39.7%)’를 꼽은 데 비해, 여성은 ‘결혼 생활과 문화에 대한 부담(26.1%)’을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그렇다면, 2030세대는 신혼부부 임대주택이나 저금리 대출, 출산/육아지원금 등 결혼/출산 과정에서의 사회보장제도 확대와 이에 따른 세금 부담 증가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20대와 30대, 남성과 여성은 약간씩의 차이는 보였으나 대체로 과반의 비율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전체 응답자 중 찬성 의견을 가진 응답자 비율은 63.2%였다.
한편, ‘자녀 양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가 무엇일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대와 30대, 남녀 응답자 다수가 ‘일과 가정의 양립(32.3%)’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답했고, 그 외에도 ‘주거 안정(22.3%)’, ‘임금인상(13.6%)’, ‘직장 내 양성평등(13.4%)’ 등의 기타 답변이 나와 결혼/출산 정책에 대한 정부 정책에 가이드를 제시해줬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한전 상반기 14조 적자…‘연간 30조 적자’ 현실화 되나
- “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20개 추석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 가격 작년 수준으로 낮춘다
- 코로나 전보다 3배 뛴 해상·항공운임…정부 “내년 예산에 반영”
- 여행 취소하고, 휴가 내고… 수해민 돕는 ‘봉사 릴레이’
- 손보업계 ‘물폭탄’… 차량 침수 피해액 사상최대 1300억원 육박
- 차 보험료 내린다더니…물폭탄 때문에 물 건너가나
- 스타벅스, 발암물질 나온 ‘서머 캐리백’ 리콜
- 피곤해서 마신 커피, 효과 없는 이유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