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1251개 계단을 뛰어올라라! ‘63빌딩 수직마라톤’
김아연 기자, 엄소민 인턴
입력 2017-11-13 16:41 수정 2017-11-13 16:46








#1.
1251개 계단을 뛰어올라라! ‘63빌딩 수직마라톤’
#2.
12일 여의도 63빌딩에서 마라톤이 열렸습니다. 42.195㎞를 달리는 것이 아닌 1251개 계단을 뛰어오르는 ‘수직마라톤’입니다.
계단을 뛰어오르며 체력의 한계를 시험해보는 이색대회에 채널A 이범찬 기자가 직접 도전해 봤습니다.
#3. #4. #5.
대회 D-3. 제일 먼저 역대 대회 남녀 우승자를 모두 배출한 체육관을 찾았습니다. ‘잡고 당기면서 디디고’ 기본자세부터 익혔습니다.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아야 1200개가 넘는 계단을 꾸준히 오를 수 있습니다.
첫 10층은 세 칸씩 뛰고 그다음부터는 두 칸씩 꾸준히 오르는 것이 고수들의 비법. 하지만 처음부터 고수들의 속도를 따라가기는 쉽지 않습니다.
“63빌딩은 못 올라갑니다. 일반인은 못 올라가요. 담배를 끊어야 해.”
이어지는 산악훈련. 맑은 공기를 마시며 야산을 뛰다 보면 체력과 정신력이 단련됩니다.
“이 운동을 하면 다리 근력과 심폐지구력 향상에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김두진 / ‘63계단 오르기 대회’ 참가자)
수직마라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체의 힘이었습니다.
#6. #7.
드디어 대회 당일. 기자 역시 정식으로 선수 등록을 하고 몸을 풀어 줍니다.
“도전입니다, 도전.” 설레는 마음으로 1251개의 계단을 향해 출발했습니다.
가장 고통스럽다는 마의 40층. 표정이 일그러지고 숨이 턱 밑까지 차오릅니다.
“스퍼트를 내고 싶은데 힘이 없습니다.”
마지막 5층 드디어 고지가 눈앞입니다. 이미 체력은 바닥이 나버렸습니다.
#8
마침내 63층을 모두 완주했습니다.
기자의 기록은 8분 7초. 전체 참가자 중 2등을 차지했습니다.
‘수직마라톤’ 준비부터 완주까지 정신력과 체력의 한계에 도전한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2017. 11. 13. (월)
동아일보 디지털통합뉴스센터
원본| 이범찬 기자
사진 출처| 채널A 뉴스·Flaticon
기획·제작| 김아연 기자·엄소민 인턴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패자부활 길도 막힌 자영업자 月 24만명
- 삼양, ‘年8억개 생산’ 新공장 준공… “K라면 수출 전진기지로”
- 홈플러스, 인가 전 M&A 신청한다…“청산 가치 더 높아”
- 李대통령 “주식시장서 장난치면 패가망신”
- 코스피, 7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3년 5개월 만에 최고치
- ‘국평’ 분양가 7.7억… 1년새 1억 올랐다
- 자영업자 5개월째 줄었다…커피숍·호프집에 모텔·음식점까지 ‘줄비명’
- 코스피, 3년 5개월 만에 2900선 돌파… ‘바이 코리아’ 외국인 이달만 4조 매수
- “재초환 부과땐 서울 가구당 평균 1억4741만원… 전국 58곳 대상”
- “11년 방치해 실명”…‘이 병’ 3개월 안에 발견하면 완치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