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경제학자 “1년내 침체 온다” 44%… 금융위기 직전보다 6%P 높아
뉴욕=유재동 특파원
입력 2022-06-21 03:00 수정 2022-06-21 03:00
[경기침체 비상등]
금리인상 따른 이자율 상승에 물가급등-원자재값 충격 등 영향
옐런 “경기침체 못 피할 건 아냐”
미국 경제 전문가들이 보는 경기 침체 확률이 최근 급격히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조사와 비교해도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 17일 경제학자 53명을 대상으로 ‘향후 12개월 내에 경기 침체가 올 확률’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이들의 답변 평균치는 44%로 조사됐다. 경제학자들은 올해 1월만 해도 같은 질문에 평균 18%라고 답했고, 직전 조사인 4월엔 향후 1년 내 경기 침체 확률을 28%라고 봤다.
WSJ는 같은 조사가 시작됐던 2005년 중반 이후 44%라는 수치는 거의 나온 적이 없다고 보도했다. 심지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2월 조사 때도 경기 침체 확률은 평균 38%로 추산돼 이번 조사보다 6%포인트가 낮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에 머물렀다.
경제학자들은 경기 침체 확률을 높게 보는 이유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율 상승과 물가 급등세, 공급망 문제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값 충격 등을 꼽았다.
이번 설문에서 경제학자들은 올해 말에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7%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다는 기대가 나왔던 올 4월 당시 전망(5.5%)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반면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1.3%로 예측돼 두 달 전 전망치(2.6%)에 비해 반 토막으로 떨어졌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9일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제시한 인플레이션 목표치 2%에 대해 “목표에 도달하려면 2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8.6%로 연준 목표보다 크게 높다.
그럼에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당국자들은 올 11월 중간선거를 의식하며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연일 설파하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사진)은 ABC방송에 출연해 “미국 노동시장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강력하다. 조만간 인플레이션 속도가 둔화할 것으로 본다”며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CBS방송 및 폭스뉴스에 출연해 “많은 이가 미국 경제의 강인함과 회복력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금리인상 따른 이자율 상승에 물가급등-원자재값 충격 등 영향
옐런 “경기침체 못 피할 건 아냐”
미국 경제 전문가들이 보는 경기 침체 확률이 최근 급격히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조사와 비교해도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 17일 경제학자 53명을 대상으로 ‘향후 12개월 내에 경기 침체가 올 확률’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이들의 답변 평균치는 44%로 조사됐다. 경제학자들은 올해 1월만 해도 같은 질문에 평균 18%라고 답했고, 직전 조사인 4월엔 향후 1년 내 경기 침체 확률을 28%라고 봤다.
WSJ는 같은 조사가 시작됐던 2005년 중반 이후 44%라는 수치는 거의 나온 적이 없다고 보도했다. 심지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2월 조사 때도 경기 침체 확률은 평균 38%로 추산돼 이번 조사보다 6%포인트가 낮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에 머물렀다.
경제학자들은 경기 침체 확률을 높게 보는 이유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율 상승과 물가 급등세, 공급망 문제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값 충격 등을 꼽았다.
이번 설문에서 경제학자들은 올해 말에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7%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다는 기대가 나왔던 올 4월 당시 전망(5.5%)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반면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1.3%로 예측돼 두 달 전 전망치(2.6%)에 비해 반 토막으로 떨어졌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9일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제시한 인플레이션 목표치 2%에 대해 “목표에 도달하려면 2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8.6%로 연준 목표보다 크게 높다.
그럼에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당국자들은 올 11월 중간선거를 의식하며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연일 설파하고 있다.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꺾이지 않는 인기’… 농심 ‘먹태깡’, 600만 봉 넘게 팔렸다
- 일교차 커지는 가을철…“당신의 혈관은 공격 받습니다”
- “고금리 공포 몰려오나”…떨고 있는 영끌족
- 찾아가는 점포-글자 키운 ATM… ‘올드리치 잡기’ 은행의 변신
- “도무지 낫질 않네” 만성 통증…당뇨병이 원인일수 있다
- “형광등 교체도 집주인이?”… 전셋집 수리, 누가 해야 하나[부동산 빨간펜]
- 신세계, 이마트 등 대표 40% 교체… 유통업 인사 폭풍
- 올가을엔 낙조 맛집 ‘오이도’로 가볼까
- ‘화웨이 열풍’에도 완판된 아이폰15…동력 약해진 中 ‘애국소비’[글로벌 현장을 가다]
- 서울 아파트 전세가, 4년만에 최대폭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