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1000兆 ‘투자 보따리’ 푼다…고용도 22만명 신규 채용
뉴스1
입력 2022-05-26 13:57:00 수정 2022-05-26 13:59:05

고용에도 시동을 걸었다. 22만명 이상을 신규 고용해 청년 채용에 나선다. 포스코 등 다른 대기업들도 투자 계획을 준비 중이라, 전체 투자액과 고용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는 지원한다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 정책에 화답한 것으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경제 활성화를 돕고, 일자리 창출과 동반성장 등에 나서기로 했다.
26일 SK그룹은 오는 2026년까지 5년동안 반도체(Chip)와 배터리(Battery), 바이오(Bio) 등을 중심으로 247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금액의 72%인 179조는 국내에 집중해 국가경제 활성화에 적극 기여할 방침이다.
부문별로는 Δ반도체와 소재 142조2000억원 Δ전기차 배터리 등 그린 비즈니스 67조4000억원 Δ디지털 24조9000억원 Δ바이오 및 기타 12조7000억원 등이다.
고용 창출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2026년까지 5년간 5만명을 채용한다.
LG그룹도 이날 2026년까지 5년간 국내에 106조원을 투자하고 5만명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연구개발(R&D), 최첨단 고부가 생산시설 확충, 인프라 구축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집중된다. 특히 투자액 중 48조원을 R&D에 투입하기로 했다.
또 2026년까지 매년 약 1만명, 총 5만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LG 관계자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고객가치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의 소임을 적극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은 앞으로 5년간 45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와 바이오, 신성장IT 부문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지난 5년간 투자한 330조원보다 120조원 늘어난 수치로, 투자금액의 80%인 360조원이 국내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선제적 투자·차별화된 기술로 ‘반도체 초강대국’을 달성하고, 바이오 산업 육성으로 ‘제2의 반도체 신화’를 만들기 위한 조치다. 또 인공지능(AI)과 차세대 통신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주도하기로 했다.
또 일자리 창출과 미래인재 육성에도 적극 나선다. 앞으로 5년간 8만명을 신규 채용한다. 고용유발 효과는 107만명으로 추산했다.
삼성은 “국민소득 증대와 경제 발전을 이끌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 3사도 2025년까지 국내 시장에 63조원을 투자한다.

재계 5위인 롯데그룹도 신성장 테마 Δ헬스 앤 웰니스(Health&Wellness) Δ모빌리티(Mobility) Δ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부문을 포함해 화학·식품·인프라 등 핵심 산업군에 5년간 총 37조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유통·관광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표”라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5년간 미래사업 분야인 에너지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국내 산업에 20조원을 투자하는 등 2026년까지 5년간 총 37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여기에 5년간 총 2만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 사회적 고용 확대에 기여하기로 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투자와 고용을 통한 기업 본연의 경쟁력 확보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ESG 경영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두산그룹도 5년간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스터빈, 수소터빈, 수소연료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사업에 5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기업들이 잇달아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은 새 정부 출범 후 국내 고용과 투자를 확대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새 정부가 민간 투자의 자율성 보장을 약속한 만큼 더 많은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며 “한국 경제 성장과 활성화를 위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수도권·서울 집값 너도나도 떨어진다”…소비심리 10년 만에 하락전환
- 희망퇴직금 수억원 쥐고… 빅테크서 ‘인생 2막’ 40대 금융인들
- 전세대출 60%가 청년층…치솟는 이자 부담
- K콘텐츠 바람 타고… K푸드, 중동-북미 입맛도 잡는다
- 배너 광고 늘리는 네이버-카카오… 이용자들 “서비스 사용 방해”
- 서울 재건축-재개발 풀어 5년간 24만채 공급
- “다 따블, 따따블이에요”…가락시장, 손님도 상인도 ‘울상’
- 통신3사 “갤Z 폴드4·플립4 사전예약 첫날 성적 전작 이상”
- ‘6억 람보르기니’ 침수차 당근마켓 등장…“장식용, 1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