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재용, 14일 방미…파운드리 투자·글로벌 네트워크 직접 챙긴다
서동일기자 , 서형석기자
입력 2021-11-13 19:25:00 수정 2021-11-13 23:35:36
미국 출장은 2016년 이후 5년 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4일 오전 캐나다·미국 출장길에 오른다. 8월 가석방 출소 후 첫 해외 출장이며 미국 출장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이 부회장은 14일 오전 캐나다·미국 출장에 나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출장 기간 이 부회장은 캐나다에 위치한 삼성전자 인공지능(AI) 연구센터를 방문하고, 이어 미국을 방문해 약 17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의 미국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장 부지 결정 등을 최종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 내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최고경영진(CEO)를 만나 미뤄왔던 글로벌 네트워크 복원에도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회장의 해외 출장은 지난해 10월 베트남이 마지막이었다.
이 부회장은 8월 가석방 출소 직후 내부 경영 현안을 집중적으로 챙겨왔지만 재수감으로 인해 단절됐던 해외 네트워크를 복원하는 일이 큰 과제로 남아있던 상황이었다. 서류들로는 알 수 없는 주요 미래 사업의 흐름을 직접 보고 확인하기 위해 이번 미국 출장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의 미국 출장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이 부회장은 2017년 국정농단 사건으로 구속되기 전까지 세계 경제계 거물들의 모임으로 불리는 ‘선밸리 콘퍼런스’에 한국 기업인으로는 유일하게 매년 초청을 받아 참가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다져왔었다. 선밸리 콘퍼런스는 세계 최고 ICT 거물들이 미국에서 며칠간 한자리에 모여 미래 사업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는 자리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2017년 2월 구속되면서 글로벌 네트워크 단절을 겪어 왔다. 이 부회장은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풀려났었지만 올해 1월 재수감된 뒤 8월 형기의 60% 이상을 채워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출소한 뒤에도 삼성물산 등 계열사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등으로 매주 재판에 참석해야 하는 ‘사법 리스크’로 완전한 경영 복귀에 제약이 적지 않았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 미국 출장을 계기로 이 부회장이 그리는 ‘뉴 삼성’이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부회장은 최근 반도체, 바이오, 차세대 통신 분야 등 미래 전략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3년 동안 국내 180조 원을 포함해 총 240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지난달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1주기 추도식 후에는 사장단에 “새로운 삼성을 만들기 위해 함께 나아가자”며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승어부(勝於父·아버지를 능가함)’를 강조하며 바이오 등 신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해 한 차원 높은 삼성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혀왔다”라며 “‘새로운 삼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 만큼 이번 미국 출장을 통해 이 부회장이 경영 보폭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일 기자 dong@donga.com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4일 오전 캐나다·미국 출장길에 오른다. 8월 가석방 출소 후 첫 해외 출장이며 미국 출장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이 부회장은 14일 오전 캐나다·미국 출장에 나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출장 기간 이 부회장은 캐나다에 위치한 삼성전자 인공지능(AI) 연구센터를 방문하고, 이어 미국을 방문해 약 17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의 미국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장 부지 결정 등을 최종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 내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최고경영진(CEO)를 만나 미뤄왔던 글로벌 네트워크 복원에도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회장의 해외 출장은 지난해 10월 베트남이 마지막이었다.
이 부회장은 8월 가석방 출소 직후 내부 경영 현안을 집중적으로 챙겨왔지만 재수감으로 인해 단절됐던 해외 네트워크를 복원하는 일이 큰 과제로 남아있던 상황이었다. 서류들로는 알 수 없는 주요 미래 사업의 흐름을 직접 보고 확인하기 위해 이번 미국 출장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2017년 2월 구속되면서 글로벌 네트워크 단절을 겪어 왔다. 이 부회장은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풀려났었지만 올해 1월 재수감된 뒤 8월 형기의 60% 이상을 채워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출소한 뒤에도 삼성물산 등 계열사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등으로 매주 재판에 참석해야 하는 ‘사법 리스크’로 완전한 경영 복귀에 제약이 적지 않았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 미국 출장을 계기로 이 부회장이 그리는 ‘뉴 삼성’이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부회장은 최근 반도체, 바이오, 차세대 통신 분야 등 미래 전략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3년 동안 국내 180조 원을 포함해 총 240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지난달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1주기 추도식 후에는 사장단에 “새로운 삼성을 만들기 위해 함께 나아가자”며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승어부(勝於父·아버지를 능가함)’를 강조하며 바이오 등 신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해 한 차원 높은 삼성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혀왔다”라며 “‘새로운 삼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 만큼 이번 미국 출장을 통해 이 부회장이 경영 보폭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일 기자 dong@donga.com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한전 상반기 14조 적자…‘연간 30조 적자’ 현실화 되나
- “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20개 추석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 가격 작년 수준으로 낮춘다
- 코로나 전보다 3배 뛴 해상·항공운임…정부 “내년 예산에 반영”
- 여행 취소하고, 휴가 내고… 수해민 돕는 ‘봉사 릴레이’
- 손보업계 ‘물폭탄’… 차량 침수 피해액 사상최대 1300억원 육박
- 차 보험료 내린다더니…물폭탄 때문에 물 건너가나
- 스타벅스, 발암물질 나온 ‘서머 캐리백’ 리콜
- 피곤해서 마신 커피, 효과 없는 이유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