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과학기술 연구, 김일성종합대-김책공대가 주도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입력 2019-03-25 03:00 수정 2019-03-25 13:58
北국내외 학술지 논문 데이터 분석
국제연구, 물리-천문학 분야 최다… 국내선 과학인프라 중요하게 다뤄
2014년 이후 자생적 연구자 출현
북한의 과학기술 분야 연구의 ‘핵심 주체’는 국제적으로는 김일성종합대학, 국내적으로는 김책공업종합대학(김책공대)이라는 사실이 국제 및 북한 학술지 논문 데이터 분석 결과 드러났다. 국제 연구에서는 레이저 등 물리학과 제어수학이, 국내 연구 주제로는 시스템이나 장치 구축 등 과학 인프라가 중요하게 다뤄진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2014년 이후로는 북한 과학자가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주도적인 연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본보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부터 입수한 ‘2008∼2016 북한 과학자 국제 학술연구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국제 학술논문 발표는 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 국가과학원, 이과대학이 90% 가까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문회의는 “국제 공동연구의 제2저자 등으로 참여한 연구가 아닌, 북한 국내 연구자가 주도한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연구책임자)의 연구가 2014년부터 증가했다”며 “이 무렵부터 북한 과학연구의 질적인 도약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자문회의는 남북 교류가 본격화될 것을 대비해 북한의 교류 대상 기관과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북한 과학계 현황을 분석했다.
자문회의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 동안 국제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푸스(SCOPUS)에 등재된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북한 논문 가운데 99편을 선별해 양적, 질적 분석을 했다. 논문의 저자가 연구를 주도한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인지를 분석한 결과, 2013년까지는 대부분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에 방문연구자로 참여하던 북한 연구자들이 2014년을 기점으로 단독 연구논문 또는 제1저자 논문을 많이 쓰고 있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물리·천문학에서 2008년 북한 과학자가 쓴 주요 논문은 1편이었고 그나마 교신저자나 제1저자가 아니었다. 하지만 2015년에는 논문 수가 7편으로 늘었고 그 가운데 5편이 교신저자 논문이었다. 2016년에는 6편 중 3편이 교신저자였다. 재료과학이나 공학도 비슷했다.
주요 연구 분야도 분석했다. 제어, 전기전자 등 공학이 강세였지만, 물리, 화학, 수학 등 기초과학도 많았고 일부는 ‘피지컬 리뷰’ 등 학계 대표적인 학술지에도 이름을 올렸다. 수적으로는 물리학과 천문학 분야 논문이 31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학이 15건, 컴퓨터과학과 재료과학이 8건, 농학과 생물학이 7건 순이었다.
두각을 나타내는 대표 연구자도 찾았다. 물리학에서는 김광현 국가과학원 레이저연구소 교수, 강진우 김일성종합대 물리학과 교수가 북한의 대표적 과학자로 꼽혔다. 수학에서는 리성혁 이과대 제어과학과 교수와 오형철 김일성종합대 수학과 교수, 컴퓨터과학에서는 촤광민 김일성종합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재료과학은 유철준 김일성종합대 물리학과 교수가 각각 꼽혔다.
염한웅 자문회의 부의장은 “북한과 협력하고자 제안된 프로젝트가 수백 개나 있는데 전체를 아우르는 중장기적인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분석을 했다”며 “과학기술계 상호간의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북한의 현장 과학자를 발굴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국내 과학연구 동향을 세밀하게 분석한 연구 결과도 최근 나왔다.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윤정원 한양대 산업융합학부 교수팀은 북한의 대표적인 국내 과학기술학술지 ‘기술혁신’ 가운데 2015년에 발행한 논문 720편을 입수해 논문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내부 단어 의미망을 분석해 학술지 ‘사이엔토메트릭스’ 3월호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주요 북한 국내 연구 수행의 핵심 기관은 김책공대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김일성종합대는 국내 연구에서는 5위권 밖이었고, 오히려 국가과학원과 이과대 등이 주요 성과를 냈다. 핵심 키워드는 과학기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체계’나 ‘조절’ ‘장치’ 등으로 나타났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
국제연구, 물리-천문학 분야 최다… 국내선 과학인프라 중요하게 다뤄
2014년 이후 자생적 연구자 출현
본보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부터 입수한 ‘2008∼2016 북한 과학자 국제 학술연구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국제 학술논문 발표는 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 국가과학원, 이과대학이 90% 가까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문회의는 “국제 공동연구의 제2저자 등으로 참여한 연구가 아닌, 북한 국내 연구자가 주도한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연구책임자)의 연구가 2014년부터 증가했다”며 “이 무렵부터 북한 과학연구의 질적인 도약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자문회의는 남북 교류가 본격화될 것을 대비해 북한의 교류 대상 기관과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북한 과학계 현황을 분석했다.
자문회의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 동안 국제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푸스(SCOPUS)에 등재된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북한 논문 가운데 99편을 선별해 양적, 질적 분석을 했다. 논문의 저자가 연구를 주도한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인지를 분석한 결과, 2013년까지는 대부분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에 방문연구자로 참여하던 북한 연구자들이 2014년을 기점으로 단독 연구논문 또는 제1저자 논문을 많이 쓰고 있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물리·천문학에서 2008년 북한 과학자가 쓴 주요 논문은 1편이었고 그나마 교신저자나 제1저자가 아니었다. 하지만 2015년에는 논문 수가 7편으로 늘었고 그 가운데 5편이 교신저자 논문이었다. 2016년에는 6편 중 3편이 교신저자였다. 재료과학이나 공학도 비슷했다.
주요 연구 분야도 분석했다. 제어, 전기전자 등 공학이 강세였지만, 물리, 화학, 수학 등 기초과학도 많았고 일부는 ‘피지컬 리뷰’ 등 학계 대표적인 학술지에도 이름을 올렸다. 수적으로는 물리학과 천문학 분야 논문이 31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학이 15건, 컴퓨터과학과 재료과학이 8건, 농학과 생물학이 7건 순이었다.
두각을 나타내는 대표 연구자도 찾았다. 물리학에서는 김광현 국가과학원 레이저연구소 교수, 강진우 김일성종합대 물리학과 교수가 북한의 대표적 과학자로 꼽혔다. 수학에서는 리성혁 이과대 제어과학과 교수와 오형철 김일성종합대 수학과 교수, 컴퓨터과학에서는 촤광민 김일성종합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재료과학은 유철준 김일성종합대 물리학과 교수가 각각 꼽혔다.
염한웅 자문회의 부의장은 “북한과 협력하고자 제안된 프로젝트가 수백 개나 있는데 전체를 아우르는 중장기적인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분석을 했다”며 “과학기술계 상호간의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북한의 현장 과학자를 발굴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국내 과학연구 동향을 세밀하게 분석한 연구 결과도 최근 나왔다.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윤정원 한양대 산업융합학부 교수팀은 북한의 대표적인 국내 과학기술학술지 ‘기술혁신’ 가운데 2015년에 발행한 논문 720편을 입수해 논문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내부 단어 의미망을 분석해 학술지 ‘사이엔토메트릭스’ 3월호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주요 북한 국내 연구 수행의 핵심 기관은 김책공대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김일성종합대는 국내 연구에서는 5위권 밖이었고, 오히려 국가과학원과 이과대 등이 주요 성과를 냈다. 핵심 키워드는 과학기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체계’나 ‘조절’ ‘장치’ 등으로 나타났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
비즈N 탑기사
- 범죄? 사고?…시흥 낚시터서 숨진채 발견된 40대 ‘미스터리’
- 도박현장서 압수한 현금 훔쳐 쓴 전직 경찰관 징역 2년
- 정차 중이던 차 들이박고도 직진…70대 여성 ‘운전미숙’ 추정
- ‘싱글맘’ 쥬얼리 이지현, 국숫집 알바한다 “민폐 끼칠까 걱정”
- 세차장 흠집 갈등…“없던 것” vs “타월로 생길 수 없는 자국”
- 덕수궁서 연말에 만나는 ‘석조전 음악회’
- ‘컴퓨터 미인’ 황신혜가 뽑은 여배우 미모 톱3는?
- ‘솔로 컴백’ 진 “훈련병 때 느낀 감정 가사에 담았죠”
- 앙투아네트 300캐럿 목걸이… 소더비 경매서 68억원에 낙찰
- “진짜 동안 비결, 때깔 달라져”…한가인, 꼭 챙겨 먹는 ‘이것’ 공개
- “벌써부터 내년 주담대 신청”…2000조 향하는 가계빚
- OECD도 주목 “韓 발군의 성장”…국민 체감은 ‘꼴찌’ 수준
- 전 세계 TV, 3개중 1개 중국산…삼성·LG 돌파 전략은?
- 청년 일자리 7분기째 ‘내리막’…농림어업·운수·창고 유일하게↑
- ‘4%대 금리’ 예-적금 사라진 저축은행… 특판상품도 실종
- “세계가 열광하는 K콘텐츠”…숨은 조력자는 ‘유통 플랫폼’
- 세계가 주목하는 ‘힙한 아이템’… K한복 날다
- 강남 보유세 최대 39%↑… 반래퍼 959만→1331만원
- 세계로 뻗는 한국 김치… 5조 원 시장, 2050년 15조 원 성장 전망
- 알리·테무 해외직구, 6개월간 판매차단만 1915건…유해물질·감전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