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커피섭취량 증가로 1회 섭취 기준량도 늘어, 200ml로 상향 조정
동아경제
입력 2015-12-17 11:03:00 수정 2015-12-17 11:04:13

한국 커피섭취량 증가로 1회 섭취 기준량도 늘어, 200ml로 상향 조정
한국인의 커피 섭취가 많아짐에 따라 커피 1회 섭취 기준량도 늘어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섭취량 변화에 따라 다류 등의 1회 제공기준량을 현행화해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자 커피, 다류 등 15개 식품유형의 1회 제공기준량을 개정했다.
식약처는 또 설탕, 간장, 된장, 식용유지 등 44개 식품유형의 1회 제공기준량을 신설했다.
개정고시에 따르면 커피와 침출차·액상차·고형차 등 차류의 1회 제공기준량은 섭취량 증가를 반영해 기존 100ml에서 200ml로 상향 조정됐다.
신설된 1회 제공기준량은 백설탕·갈색설탕·기타설탕은 5g, 콩기름·옥수수기름·해바라기유·올리브유·고추씨기름·마가린류 등도 5g이다. 한식간장·양조간장은 5ml이며, 한식된장·된장·조미된장·고추장·조미고추장은 10g이다. 청국장은 20g, 배추김치·기타김치는 40g, 물김치는 60g이다.
1회 제공기준량은 국민 한 사람이 한 번에 평균적으로 먹는 식품 섭취량과 시장조사 결과 등을 고려해 식약처가 정한다. 식품업체는 이런 1회 제공기준량을 기준으로 열량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 영양성분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표시한다.
이 고시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동아경제 기사제보 eco@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별, 막내딸 송이 안고 절친 테이 결혼식 참석 “제일 멋진 신랑”
- “어묵 5000원어치는 안 팔아”…지역 축제 ‘바가지’ 또 도마
- “연매출 25억” 하버드 출신 한인 여성 아이스크림 가게 대박 비결은?
- 중3 학부모 82% 미적분·기하 선호…“쏠림 심해질 것”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삶을 바꾸고 싶다면 이것부터 살펴라[직업인을 위한 김호의 생존의 방식]
- MZ세대 핫플 찾는 외국인들 “뻔한 관광지 NO”
- 대출규제 풀자 6억~15억 아파트 숨통… 서울 매매의 60% 차지
- 자영업자 4년새 180만명 증가, 月평균소득 160만원까지 추락
- 수도권 아파트 값도 17개월 만에 ‘상승’ 전환…서울은 상승 폭 유지
- 항공요금 향후 10~15년간 더 오른다… 이유는?
- 삼성·청담·대치·잠실 토지거래허가 연장…“10월 재논의”
- 스마트 워치로 일상서 혈압-심전도 측정… 자는 동안 수면분석도
- 450만원짜리 애플 ‘MR 헤드셋’… “눈-손-목소리로 앱 열고 게임”
- 회장이 직접뛴다… 신동빈, 일본 소비재 포럼서 ‘부산 엑스포’ 유치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