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보다 인터넷은행, 방송국보다 넷플릭스… ‘MZ 구직자’ 기업선호도 바뀐다
김예윤 기자
입력 2022-09-20 03:00 수정 2022-09-20 03:00
취업준비생 1137명 대상 설문조사
인터넷 은행 선호 시중 은행의 2배
OTT 취업 선택 방송국의 3배 넘어
미래성장성-수평적 문화 선호 반영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취업준비생들은 시중은행보다는 인터넷 은행을, 방송국보다는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인기 직장보다 온라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직장을 우선으로 꼽은 것이다. 선호 이유로는 모두 ‘향후 전망과 성장성’이 꼽혔다.
취업플랫폼 캐치가 최근 취업준비생 1137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은행과 시중은행 중 더 취업하고 싶은 곳’에 대해 설문한 결과 66%가 ‘인터넷 은행’을 선택했다. ‘시중은행’을 선택한 비율은 34%에 그쳤다.
인터넷 은행을 선택한 750명 중 48%가 그 이유로 ‘높은 성장성’을 꼽았다. 이어서 ‘수평적 조직문화’(22%), ‘인터넷 은행을 더 자주 이용해서’(12%) 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 ‘높은 연봉’과 ‘우수한 복리 후생’, ‘적은 실적 압박’ 등의 의견도 있었다. 반면 시중은행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높은 고용 안정성’(48%)이 1위를 차지했고, ‘높은 네임밸류’(24%)와 ‘좋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11%)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방송국과 OTT 업계 중 더 취업하고 싶은 곳’을 물어본 또 다른 조사에서는 응답자 1386명 중 78%에 달하는 인원(1087명)이 넷플릭스, 티빙, 왓챠 등 OTT 업계를 선택했다. 이들은 OTT 업계 취업을 더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 ‘향후 전망이 좋기 때문’(48%)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 ‘OTT를 자주 이용해서’(15%), ‘제작하는 콘텐츠 성격 때문에’(12%)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기존 방송국을 선호한다고 답한 229명(22%)은 그 이유로 ‘안정적이어서’(55%)를 1위로 꼽았다. ‘네임밸류가 있어서’(16%)와 ‘노하우 및 전통이 있어서’(12%)가 2, 3위였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소장은 “MZ세대는 중요한 구직 요소로 직장의 성장 가능성과 조직 문화를 중시하는 걸 알 수 있다”며 “‘K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는 상황에서 OTT의 성장 가능성을 보거나, 기존의 보수적인 은행 문화를 벗어나고 싶다는 최근 구직 선호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인터넷 은행 선호 시중 은행의 2배
OTT 취업 선택 방송국의 3배 넘어
미래성장성-수평적 문화 선호 반영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취업준비생들은 시중은행보다는 인터넷 은행을, 방송국보다는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인기 직장보다 온라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직장을 우선으로 꼽은 것이다. 선호 이유로는 모두 ‘향후 전망과 성장성’이 꼽혔다.
취업플랫폼 캐치가 최근 취업준비생 1137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은행과 시중은행 중 더 취업하고 싶은 곳’에 대해 설문한 결과 66%가 ‘인터넷 은행’을 선택했다. ‘시중은행’을 선택한 비율은 34%에 그쳤다.
인터넷 은행을 선택한 750명 중 48%가 그 이유로 ‘높은 성장성’을 꼽았다. 이어서 ‘수평적 조직문화’(22%), ‘인터넷 은행을 더 자주 이용해서’(12%) 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 ‘높은 연봉’과 ‘우수한 복리 후생’, ‘적은 실적 압박’ 등의 의견도 있었다. 반면 시중은행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높은 고용 안정성’(48%)이 1위를 차지했고, ‘높은 네임밸류’(24%)와 ‘좋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11%)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방송국과 OTT 업계 중 더 취업하고 싶은 곳’을 물어본 또 다른 조사에서는 응답자 1386명 중 78%에 달하는 인원(1087명)이 넷플릭스, 티빙, 왓챠 등 OTT 업계를 선택했다. 이들은 OTT 업계 취업을 더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 ‘향후 전망이 좋기 때문’(48%)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 ‘OTT를 자주 이용해서’(15%), ‘제작하는 콘텐츠 성격 때문에’(12%)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기존 방송국을 선호한다고 답한 229명(22%)은 그 이유로 ‘안정적이어서’(55%)를 1위로 꼽았다. ‘네임밸류가 있어서’(16%)와 ‘노하우 및 전통이 있어서’(12%)가 2, 3위였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소장은 “MZ세대는 중요한 구직 요소로 직장의 성장 가능성과 조직 문화를 중시하는 걸 알 수 있다”며 “‘K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는 상황에서 OTT의 성장 가능성을 보거나, 기존의 보수적인 은행 문화를 벗어나고 싶다는 최근 구직 선호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소주 가격 떨어지나” 기준판매비율 도입 환영…식당 판매가는 “글쎄”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한국의 아마존’ 꿈꾸던 11번가 휘청… 매각 주도권마저 잃었다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709억 수원 전세사기’ 정씨 부부 구속…아들은 기각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