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하락세에 매수심리 ‘꽁꽁’…10개월 연속 “팔겠다”>“사겠다”
뉴스1
입력 2022-09-16 08:54 수정 2022-09-16 08:54

서울 아파트값 낙폭이 확대되는 가운데 매수 심리 위축도 이어지고 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2주(1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0.2로 지난주(80.9) 대비 0.7포인트(p)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0~100 사이면 매도세가, 100~200 사이면 매수세가 더 크다는 의미다.
이번주 지수는 지난 2019년 6월24일(78.7) 이후 약 3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11월3주(15일 기준) 99.6으로 기준선을 하회한 뒤 약 10개월 동안 집을 사겠다는 사람보다 팔겠다는 사람이 많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 5개 권역 모두 매매수급지수가 하락했다.
이번 주에도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포함된 동북권 매매수급지수가 73.8로 가장 낮았다. 지난주(74.1) 대비 0.3p 떨어진 수치다.
마포·서대문·은평구 등이 있는 서북권은 74.9에서 74.5로, 영등포·양천구 등이 속한 서남권은 86.6에서 86.2로 떨어졌다.
종로·용산구가 포함된 도심권역 지수는 76.2에서 75.5로 내려갔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속한 동남권도 87.4에서 85.9로 하락했다.
매수세 위축으로 거래는 실종 상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41건에 불과하다.
아직 신고기한이 남은 8월은 현재까지 거래 건수가 521건에 그쳤다. 9월 신고 건수는 62건이다.
한편 수도권 매매수급지수는 전주와 같은 83.1로 집계됐다. 인천은 82.8에서 82.6로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경기도가 84.4에서 84.7로 소폭 확대되면서 수도권 지수에 영향을 미쳤다.
지방(수도권 외 지역) 매매수급지수는 89.7로 90선이 붕괴됐다. 이에 전국 지수도 86.7에서 86.5로 내려갔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