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년층 설탕 음료 섭취, 치매 위험 증가와 무관
박해식 기자
입력 2025-06-24 09:32 수정 2025-06-24 17:12

노년층의 설탕 또는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 섭취와 치매 발병 위험 증가 사이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만 명 이상을 10년 넘게 장기간 추적 관찰해 얻은 결과다.
과도한 설탕 섭취는 치매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비만과 당뇨병을 유발한다. 가당 음료 섭취량과 치매 발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들여다본 기존 연구들은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일관성 없는 기존 데이터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설탕 섭취량이 높을 경우 알츠하이머병(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의 병리적 특징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과 아포지단백질 E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간 대상 실험에서는 결과가 엇갈렸다. 일부 임상 시험에서는 과도한 가당 음료 섭취와 치매 발병률 증가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으나, 둘 사이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난 임상시험도 있었다.
연구개요
이에 미국 의사협회 저널(JAMA) 정신의학(Psychiatry)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진은 미국 내 6개 코호트(동일집단)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통합해 메타 분석했다. 이를 통해 설탕 또는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 섭취와 65세 이상 성인의 모든 원인에 의한 치매 발생 사이에 관련이 있는지 평가했다.
기존 6개 코호트 연구의 참가자는 1만974명(평균 나이 73.2세·여성 60%), 추적 관찰 기간은 11만 6067인년(person-year)이었다.
설탕 첨가 음료와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 섭취량은 설문지를 통해 조사했다. 연구 시작 시점으로부터 2년 이내에 진단된 치매 사례는 제외했다.
주요 결과
1인당 평균 10.7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의료 기록을 통해 파악한 모든 원인에 의한 치매 발생 사례는 2445건 이었다.
연구 결과 설탕 첨가 음료와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 섭취와 치매 위험 증가 사이에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설탕 첨가 음료 주 1회 섭취당 위험비는 0.99,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 주 1회 섭취당 위험비는 1.00으로 나타났다. 가당 음료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과 차이가 없다는 얘기다.
매일 1회 섭취하는 그룹의 위험비도 각각 0.90과 1.00으로 집계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결론
연구진은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노년기의 설탕 또는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가 치매 위험을 독립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라고 결론 내렸다.
주요 건강 관련 기관의 식이 지침은 비만, 제2형 당뇨병, 대사 건강 등을 보호하기 위해 첨가당 섭취를 제한(총 섭취 열량의 10% 이내. 약 50g)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러한 권고를 뒤집는 것은 아니지만, 노년기에 단순히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끊는 것만으로는 인지 기능상의 이점을 얻을 수 없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러한 물질들이 초기 및 중년기에 대사 건강 등 여러 관련 만성 질환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고려할 때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중국 저장대학교 의과대학과 미국 하버드 대학교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등 미국 학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박해식 기자 pistols@donga.com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여름철 맥주, 통풍 부른다…무알코올 맥주도 안심 못해
- “베르사유 5만원 vs 경복궁 3000원”…스스로 가치 깎는 한국관광
- ‘1도의 마법’… 방신실, 아이언 로프트 각도 높여 정확도 잡았다
- 李정부 첫 세법개정 핵심은 증시 부양용 ‘배당소득 분리과세’
- 비트코인 신고가, 알트코인도 폭등…스텔라 18%-헤데라 17%
- 연이은 호재에 자산시장은 활황…3000조 국내 증시, 꽃길 이어질까[D’s 위클리 픽]
- 이재용, 美 선밸리 콘퍼런스 참석후 귀국…“하반기 열심히 하겠다”
- 누리호발사 3년 공백, 고숙련 인력 대 끊길 우려[IT팀의 테크워치]
- 서울 아파트 ‘26억 이상’ 거래 최다 증가… 상반기 강남-마포 등 ‘똘똘한 한 채’ 선호
- 올해 기업 여름휴가 평균 3.7일…대기업은 ‘5일 이상’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