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김재영]판 커질 증시에 대처하는 자세
김재영 경제부 기자
입력 2015-05-26 03:00 수정 2015-05-26 03:00
지난달 22일 점심을 먹고 느긋하게 PC를 켠 주식 투자자들은 혼란에 휩싸였다. 장 초반 7년 4개월 만에 720 선을 돌파했던 코스닥지수가 오후 1시 반경부터 수직 낙하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날 코스닥지수 700 선이 무너진 것은 물론이고 하루 최대 하락폭이 5.39%나 됐다. ‘가짜 백수오’ 논란에 휩싸인 코스닥 업체 내츄럴엔도텍 때문이었다.
내츄럴엔도텍 주가는 이후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다. 연초부터 급등했던 코스닥시장 전체에 거품이 붕괴될 수 있다는 공포심리가 번졌다. 이달 초 660 선까지 밀렸던 코스닥지수가 충격을 회복하는 데는 꼬박 한 달이 걸렸다.
이 사태가 두 달 늦게 일어났다면 결과는 더 끔찍할 뻔했다. 다음 달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가격제한폭이 ±15%인 지금은 주가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데 5거래일이 걸리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경우 하한가(전일 대비 ―30%)를 이틀만 맞아도 바로 주가가 반 토막 난다.
지난달 22일 이후 이달 22일까지 21거래일 동안 14번이나 하한가로 떨어진 내츄럴엔도텍은 아직 주식시장에 남아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됐다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흘이면 주가가 4분의 1, 일주일 만에 8% 수준으로 폭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론 단 하루 만에 투자금의 절반을 날릴 수도 있다. 전날 종가 1만 원인 주식을 다음 날 상한가인 1만3000원에 샀다가 당일 돌발 악재가 발생해 해당 종목이 하한가를 맞으면 주가는 7000원으로 떨어질 수 있다.
물론 가격제한폭 확대에 나쁜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가치를 제때 평가받을 수 있고, 증시의 역동성도 높아져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늘어날 수 있다. ‘상한가 굳히기’ 등의 작전이 힘들어져 투기 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 확대에는 투기성 짙은 주식투자 문화의 변화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그동안 개미 투자자들이 겁 없이 ‘묻지 마 투자’에 나선 데에는 좁은 가격제한폭이 한몫했다. ‘설사 잘못돼도 많이 잃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도덕적 해이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근거 없는 테마와 풍문에 기대 한탕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투명한 정보공개도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코스닥 중소형주의 경우 증권사들이 리포트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은 ‘깜깜이 투자’를 해야 했다. 앞으론 개인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이 제시돼야 한다.
정부나 기관도 기업에 대한 수사나 정보공개에 앞서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 자칫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경우 기업가치가 한순간에 추락할 수 있고, 대규모 집단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로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주가조작,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나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의 책임은 결국 투자자의 몫’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실적을 꼼꼼히 따져 투자하지 않으면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자신이 없다면 펀드 등 간접투자로 옮겨 타는 것도 방법이다.
김재영 경제부 기자 redfoot@donga.com
내츄럴엔도텍 주가는 이후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다. 연초부터 급등했던 코스닥시장 전체에 거품이 붕괴될 수 있다는 공포심리가 번졌다. 이달 초 660 선까지 밀렸던 코스닥지수가 충격을 회복하는 데는 꼬박 한 달이 걸렸다.
이 사태가 두 달 늦게 일어났다면 결과는 더 끔찍할 뻔했다. 다음 달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가격제한폭이 ±15%인 지금은 주가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데 5거래일이 걸리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경우 하한가(전일 대비 ―30%)를 이틀만 맞아도 바로 주가가 반 토막 난다.
지난달 22일 이후 이달 22일까지 21거래일 동안 14번이나 하한가로 떨어진 내츄럴엔도텍은 아직 주식시장에 남아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됐다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흘이면 주가가 4분의 1, 일주일 만에 8% 수준으로 폭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론 단 하루 만에 투자금의 절반을 날릴 수도 있다. 전날 종가 1만 원인 주식을 다음 날 상한가인 1만3000원에 샀다가 당일 돌발 악재가 발생해 해당 종목이 하한가를 맞으면 주가는 7000원으로 떨어질 수 있다.
물론 가격제한폭 확대에 나쁜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가치를 제때 평가받을 수 있고, 증시의 역동성도 높아져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늘어날 수 있다. ‘상한가 굳히기’ 등의 작전이 힘들어져 투기 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 확대에는 투기성 짙은 주식투자 문화의 변화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그동안 개미 투자자들이 겁 없이 ‘묻지 마 투자’에 나선 데에는 좁은 가격제한폭이 한몫했다. ‘설사 잘못돼도 많이 잃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도덕적 해이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근거 없는 테마와 풍문에 기대 한탕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투명한 정보공개도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코스닥 중소형주의 경우 증권사들이 리포트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은 ‘깜깜이 투자’를 해야 했다. 앞으론 개인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이 제시돼야 한다.
정부나 기관도 기업에 대한 수사나 정보공개에 앞서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 자칫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경우 기업가치가 한순간에 추락할 수 있고, 대규모 집단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로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주가조작,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나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의 책임은 결국 투자자의 몫’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실적을 꼼꼼히 따져 투자하지 않으면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자신이 없다면 펀드 등 간접투자로 옮겨 타는 것도 방법이다.
김재영 경제부 기자 redfoot@donga.com
비즈N 탑기사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제주항공 참사, 피해 더 키운 화재는 어떻게 발생했나?
- 조류 충돌vs기체 결함…사고 원인 규명에 최소 ‘수개월’
- 내년 광복 80주년 기념우표 나온다
- ‘은퇴’ 추신수, SSG 프런트로 새 출발…육성 파트 맡을 듯
- ‘179㎝’ 최소라 “5주간 물만 먹고 45㎏ 만들어…그땐 인간 아니라 AI”
- 이승환 “난 음악하는 사람…더 이상 안 좋은 일로 집회 안 섰으면”
- 치킨집 미스터리 화재…알고보니 모아둔 ‘튀김 찌꺼기’서 발화
- 구의원 ‘엄마 찬스’로 4년간 583회 무료주차한 아들 약식기소
- 예금보호한도 1억 상향…2금융권으로 자금 몰리나
-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베트남 남부 사업확장 박차
- 분양가 고공행진·집값상승 피로감에도 청약 열기 ‘후끈’[2024 부동산]③
- ‘강동 아이파크 더 리버’ 내년 4월 개장…서울 첫 이케아 입점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성인 72.3% “온라인 시험 경험”…부정행위는 우려
- 농촌여행 정보 한곳에 모았다…농어촌공사 ‘웰촌’ 새단장
- ‘은퇴’ 추신수, SSG 프런트로 새 출발…육성 파트 맡을 듯
- “공사비·사업비 갈등 여전한데”…내년 서울 분양 92%는 정비사업 물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