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알바생들, 치솟는 물가에 “덜 쓰고 더 번다”
뉴시스
입력 2023-10-27 09:04 수정 2023-10-27 18:09
알바천국 조사 결과
알바생 86.4% “상반기보다 지출 부담 늘어”

아르바이트생들이 식비 등 생활 물가 인상으로 지출 부담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만족도는 낮아 일거리를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알바천국은 올 상반기에 근무 경험이 있는 알바생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96.2%가 물가 인상을 체감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물가 인상 체감도가 높은 항목으로 ‘식비’의 응답률이 7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주거비(6.2%) ▲교통·통신비(6.2%) ▲문화·여가비(3.0%) ▲품위유지비(2.4%) 등이다.
지출 부담이 상반기에 비해 늘었다는 응답도 86.4%에 달했다. 알바생의 94.4%는 ‘추가 아르바이트 구직’(40.4%)과 ‘조율 가능한 지출 최소화’(40.2%) 등을 통해 노력 중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64.5는 현재 월 평균 소득에 대해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가 인상으로 인해 과도하게 지출이 늘었기 때문’(68.9%·복수응답)이 가장 많고, ‘물가상승률보다 임금인상률이 적어서’(25.0%), ‘업무 강도에 비해 임금이 낮은 편이라서’(17.2%), ‘절대적인 임금 수준이 낮아서’(16.4%) 등 순이다.
[서울=뉴시스]
알바생 86.4% “상반기보다 지출 부담 늘어”

아르바이트생들이 식비 등 생활 물가 인상으로 지출 부담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만족도는 낮아 일거리를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알바천국은 올 상반기에 근무 경험이 있는 알바생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96.2%가 물가 인상을 체감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물가 인상 체감도가 높은 항목으로 ‘식비’의 응답률이 7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주거비(6.2%) ▲교통·통신비(6.2%) ▲문화·여가비(3.0%) ▲품위유지비(2.4%) 등이다.
지출 부담이 상반기에 비해 늘었다는 응답도 86.4%에 달했다. 알바생의 94.4%는 ‘추가 아르바이트 구직’(40.4%)과 ‘조율 가능한 지출 최소화’(40.2%) 등을 통해 노력 중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64.5는 현재 월 평균 소득에 대해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가 인상으로 인해 과도하게 지출이 늘었기 때문’(68.9%·복수응답)이 가장 많고, ‘물가상승률보다 임금인상률이 적어서’(25.0%), ‘업무 강도에 비해 임금이 낮은 편이라서’(17.2%), ‘절대적인 임금 수준이 낮아서’(16.4%) 등 순이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고금리·고분양가에 1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넉달 연속 하락
- 아파트 거래 올해도 싸늘… 매매회전율 역대 두번째 낮아
- ‘살은 피둥피둥, 각질은 후두둑’…겨울철 건강관리 이렇게
- ‘0원 요금’ 약발 끝났다…알뜰폰 18만명 번호 대이동
- [DBR]“로봇이 냉장고 문짝 척척” 생산성 혁신 스마트 공장
- 원희룡 “전세사기는 질 나쁜 민생범죄…선구제 후구상 신중 검토 필요”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인류 파멸 불씨냐, 번영의 선물이냐”… AI ‘두머’ vs ‘부머’ 대논쟁[인사이드&인사이트]
- “전세금 떼일라” 빌라 기피… 내년초 서울 입주 416채 역대최소
- 中企 은행대출 1000조… 파산 신청업체 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