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빚 있다”…평균 7758만원, 전년比 2천만원 상승
뉴스1
입력 2020-12-21 09:12 수정 2020-12-21 17:13

직장인 2명 중 1명은 빚을 지고 있었으며, 평균 빚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2000만원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1553명을 대상으로 ‘부채 현황’을 조사한 결과, 51%가 ‘빚을 지고 있다’고 답했다고 21일 밝혔다.
빚을 진 비율은 결혼 여부와 연령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먼저 결혼 여부 별로는 ‘기혼’(68.4%)이 ‘미혼’(39.7%)에 비해 28.7%p 높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66.2%), ‘50대’(62.1%), ‘30대’(54.4%), ‘20대’(31.8%)의 순으로 빚을 진 직장인이 많았다.
직장인들이 진 빚은 평균 7758만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6148만원에 비해 1610만원이나 늘어난 수치다.
부채 금액 역시 기미혼 및 연령에 따라 달랐다.
기혼의 경우 평균 1억397만원으로, 미혼(4794만원)의 두 배가 넘었다. 기혼자들은 주택 마련, 결혼 자금, 양육비 등 대규모 지출이 많아 부채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40대(1억 219만원), 50대(9025만원), 30대(7925만원), 20대(2941만원) 등 순으로 집계됐다.
빚을 진 주 원인은 연령대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20대는 ‘등록금 등 학비’(40.6%, 복수응답)가 1위였으나, 30대는 ‘전-월세 자금’(35.8%), 40대와 50대 이상은 ‘내집 마련비’가 각각 53.3%와 45.6%로 가장 많았다.
빚은 ‘제1금융권(은행) 대출’(62.9%, 복수응답)을 지고 있다는 응답이 1위로 꼽혔다. 계속해서 ‘정부 대출’(27.3%), ‘제2금융권(저축은행 등) 대출’(17%), ‘신용카드 현금서비스’(11.2%), ‘가족, 친인척에게 빌림’(5.7%), ‘대부업체 대출’(4.3%) 등 순이다.
직장인들은 빚이 직장생활이나 일상에 미치는 영향 1위로 ‘미래 준비 위한 목돈 마련 어려움’(61.1%, 복수응답)을 꼽았다. 이밖에 ‘대출 등으로 이직을 못 함’(20.1%), ‘주거 불안정’(20.1%), ‘결혼 미룸’(14.1%), ‘연봉 등을 높이기 위해 잦은 이직’(12.6%) 등을 들었다.
이들은 빚을 모두 갚기까지 평균 8.1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이번 주말부터 오른다…1400원→1550원
- 3분기 전기요금 ‘동결’…연료비조정단가 ‘㎾h당 5원’ 유지
- 대형마트들 “계란값 안올린다”… 특란 한판 7000원대 방어 나서
- 경기 침체에… 외국인 근로자 입국 21% 급감
- 하반기 수도권 5만2828가구 입주…상반기보다 12% 줄어
- 집값-증시 뛰자 다시 ‘영끌’… 5대銀 가계대출 이달 6조 늘듯
- 중동 정세 악화…“환율, 1400원 가능성 열어둬야”
- 李대통령, 나토 참석 않기로… “중동 정세-국내 현안 고려”
- 코스피 3000 넘었지만… 수익률, 美주식 절반도 안돼
- “전셋값 올라 부담”… 서울아파트 재계약 절반이 갱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