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스마트폰 판매, 28개월만에 상승세로
홍석호 기자
입력 2023-11-24 03:00 수정 2023-11-24 03:00
10월 판매량, 전년동기 대비 5%↑
애플-화웨이 등 신제품 출시 영향
지난달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가 28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23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스마트폰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은 2021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스마트폰 판매량은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많았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 4분기(10∼12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재고는 쌓이고 교체 주기가 길어지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위축돼 왔다. 화웨이가 7나노 반도체를 장착한 신제품을 공개하고, 애플이 9월 말 아이폰15 시리즈를 출시하는 등 신제품이 출시된 영향으로 보인다.
한편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점유율을 조사하는 74개 국가 중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하는 국가는 지난해 46개국에서 올해 42개국으로 4곳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필리핀, 알제리, 가나, 쿠웨이트, 불가리아, 베네수엘라 등 6곳에서 1위를 애플, 리얼미 등 경쟁 업체에 내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대신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추가로 점유율 1위에 오를 것으로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내다봤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애플-화웨이 등 신제품 출시 영향
지난달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가 28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23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스마트폰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은 2021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스마트폰 판매량은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많았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 4분기(10∼12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재고는 쌓이고 교체 주기가 길어지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위축돼 왔다. 화웨이가 7나노 반도체를 장착한 신제품을 공개하고, 애플이 9월 말 아이폰15 시리즈를 출시하는 등 신제품이 출시된 영향으로 보인다.
한편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점유율을 조사하는 74개 국가 중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하는 국가는 지난해 46개국에서 올해 42개국으로 4곳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필리핀, 알제리, 가나, 쿠웨이트, 불가리아, 베네수엘라 등 6곳에서 1위를 애플, 리얼미 등 경쟁 업체에 내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대신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추가로 점유율 1위에 오를 것으로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내다봤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비즈N 탑기사
- 송강호 “‘기생충’ 이후 성적? 결과 아쉽더라도 주목적은 아냐”
- ‘건강 이상설’ 박봄, 달라진 분위기…갸름해진 얼굴선
- 주원 “20㎏ 산소통 매고 마주한 큰불…극도의 긴장감 느꼈다”
- “여대 출신 채용 거른다” 커뮤니티 글 확산…사실이라면?
- “하루 3시간 일해도 월 600만원”…아이돌도 지원한 ‘이 직업’ 화제
- 중증장애인도 기초수급자도 당했다…건강식품 강매한 일당 법정에
- 고현정, 선물에 감격해 하트까지…믿기지 않는 초동안 미모
- 삶의 속도와 온도[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33〉
- 수영, 역대급 탄탄 복근…슈퍼카 앞 늘씬 몸매 자랑까지
- ‘벽에 붙은 바나나’ 소더비 경매서 86억원 낙찰
- 한국인 28살부터 33년간 흑자인생…43살 노동소득 4290만원 ‘정점’
- 서울 전세시장 숨 고르기…‘올파포’ 입주에 송파·강동 1억 ‘뚝’
- “예금자보호한도 확대에”…금융사 예보료 인상도 불가피
- 올해 종부세 대상 55만명·5조원 규모…12월16일까지 납부해야
- 눈가 주름=치매 조기 경고…많으면 최대 2.5배 더 위험
- 제주 ‘올해 최우수 공영관광지’ 어디일까?…“돌문화공원”
- “퇴근길에 대출상담 받으세요”… 저녁까지 문 여는 은행들
- “딸기 1kg 케이크부터 딸기 타워 빙수까지”… 겨울 딸기 맞이하는 업계
- 자체 칩-OS 탑재 화웨이, ‘스마트폰 굴기’ 시험대
- 종부세 대상 소폭 늘어난 55만명…1인당 평균 세액 145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