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예약, 어디도 못 믿겠다”…‘공홈’ 몰려드는 호캉스족
뉴스1
입력 2024-08-09 06:33 수정 2024-08-09 06:34

티몬·위메프(티메프)의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가 발생한 이후 소비자들이 여행 상품, 특히 숙박 분야에서 제3의 판매처나 플랫폼을 통한 예약을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9일 호텔·리조트 업계에 따르면 티메프 사태 이후 휴가철을 맞아 숙박 등 여행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각 리조트나 호텔 체인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티메프 사태로 다시 숙박 예약에 나섰다는 소비자 A씨는 “온라인 여행사(OTA) 플랫폼이 9000원 더 저렴했지만 숙소 홈페이지에서 예약했다”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결제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티메프를 통해 숙박을 비롯한 여행 상품을 예약했던 많은 소비자들은 아직 피해 금액을 환불받지 못하고 있다. 야놀자, 여기어때 등 플랫폼들이 자체적인 보상안을 제시하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PG사나 카드사를 통한 피해 금액 환불은 요원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호텔 등 숙박 업체 홈페이지나 유선을 통해 예약 문의를 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시내 한 4성급 호텔 관계자는 “성수기인 만큼 원래도 문의가 많긴 하지만 최근 전화 등으로 홈페이지 예약을 했을 때 어떤 것이 저렴한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문의가 많아졌다”고 상황을 전했다.
티메프 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OTA나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호텔, 리조트 등 숙박 시설을 예약하는 경우가 많았다. 업체별 가격 비교를 쉽게 할 수 있고 플랫폼 자체 특가 상품이 나올 때도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호텔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면 비싸다’는 인식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플랫폼이 공식 홈페이지보다 언제나 저렴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글로벌 체인 호텔들의 경우 고유의 멤버십 혜택도 받을 수 있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예약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다. 자체적인 행사나 가격 보장 정책을 이용해 플랫폼 예약보다 합리적으로 호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똑같은 조건의 상품인데 공식 홈페이지가 비싼 경우 고객이 클레임을 걸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더 비싼 가격에 상품을 판매할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호텔업계 입장에서도 판매 중개 플랫폼을 이용하면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자사 다이렉트 채널로의 유입을 높이기 위해 각종 프로모션들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제주의 한 5성급 호텔 관계자는 “티메프 사태 이후 공식 홈페이지의 공신력이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며 “OTA나 판매 플랫폼들을 이용하면 수수료 등 부담이 있기 때문에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예약이 활성화되는 것은 호텔 입장에선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日서 12배 성장 이끈 ‘사무엘 피터’ 콘래드서울 총지배인… “또 가고 싶은 5성 호텔 경험 완성”
- 식당서 파는 소주-맥주 가격마저 올랐다
- 3년 만에 뉴욕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초슬림’ 갤Z7 공개 임박
- 삼성, 1조원대 반도체 충당금… “3분기 반등 의지”
- [단독]까르띠에-루이비통… 韓 고객정보 지킬 책임자 없었다
- 마른 장마에 역대급 폭염까지…전력 수요 7월 기준 역대치 경신
- 2금융권 “신용대출 승인율 반토막”… 고강도 규제에 경영 비상
- 롤스로이스 ‘팬텀 덩텔’ 탄생… 아버지 위한 헌정작
- 올 잠재성장률 2% 붕괴… 망가진 ‘경제 기초체력’
- 하반기 전국 13만7796채 분양… 대출규제로 일정 조정 가능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