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성장률, 3년 연속 ‘OECD 평균’ 밑돌듯
세종=김도형 기자
입력 2023-09-25 03:00 수정 2023-09-25 05:17
OECD, 美-日 등 주요국 상향 조정
한국은 1.5%로 6월 때와 동일 전망
韓 7월 수출 1년전보다 15.5% 줄어
올해 경제 성장률이 3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경기 부진으로 수출 감소 폭이 큰 데다 고유가, 고금리까지 3중고를 겪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2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1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5%로 예상했다. 6월에 내놓은 전망과 동일한 수치다. 그러나 OECD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은 상향 조정했다. 미국은 1.6%에서 2.2%, 일본은 1.3%에서 1.8%, 프랑스는 0.8%에서 1.0%로 각각 올렸다. 앞서 6월 발표된 OECD 회원국의 올해 평균 성장률은 1.4%이지만, 주요국의 경기 회복세를 감안하면 11월 수정 전망에서는 이보다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올해도 한국의 성장률이 OECD 평균을 밑돌 수 있다. 한국은 이미 지난 2년 동안 OECD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1년 OECD 평균 성장률은 5.8%였지만 한국은 4.3%에 그쳤다. 지난해 한국 성장률은 2.6%로 OECD 평균(2.9%)보다 낮았다.
이는 올 들어 중국 경기 침체로 대중(對中)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 감소가 유독 커진 영향이 크다. 24일 OECD가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7월 한국의 수출은 1년 전보다 15.5% 줄었다. 이는 아직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콜롬비아를 제외한 OECD 37개 회원국 중 노르웨이(─50.2%), 에스토니아(─19.4%), 리투아니아(─16.4%)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 명 이상인 ‘30-50클럽’ 7개국 중에선 최대 수출 감소 폭이다.
7월 수입은 한국이 지난해보다 25.4% 줄어 OECD 37개국 중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과 더불어 수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 및 중간재 수입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최근 배럴당 90달러를 넘긴 고유가와 미국 긴축 기조에 따른 고금리 역시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는 악재”라며 “앞으로 잠재성장률 2% 안팎의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세종=김도형 기자 dodo@donga.com
한국은 1.5%로 6월 때와 동일 전망
韓 7월 수출 1년전보다 15.5% 줄어
올해 경제 성장률이 3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경기 부진으로 수출 감소 폭이 큰 데다 고유가, 고금리까지 3중고를 겪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2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1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5%로 예상했다. 6월에 내놓은 전망과 동일한 수치다. 그러나 OECD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은 상향 조정했다. 미국은 1.6%에서 2.2%, 일본은 1.3%에서 1.8%, 프랑스는 0.8%에서 1.0%로 각각 올렸다. 앞서 6월 발표된 OECD 회원국의 올해 평균 성장률은 1.4%이지만, 주요국의 경기 회복세를 감안하면 11월 수정 전망에서는 이보다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올해도 한국의 성장률이 OECD 평균을 밑돌 수 있다. 한국은 이미 지난 2년 동안 OECD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1년 OECD 평균 성장률은 5.8%였지만 한국은 4.3%에 그쳤다. 지난해 한국 성장률은 2.6%로 OECD 평균(2.9%)보다 낮았다.
이는 올 들어 중국 경기 침체로 대중(對中)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 감소가 유독 커진 영향이 크다. 24일 OECD가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7월 한국의 수출은 1년 전보다 15.5% 줄었다. 이는 아직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콜롬비아를 제외한 OECD 37개 회원국 중 노르웨이(─50.2%), 에스토니아(─19.4%), 리투아니아(─16.4%)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 명 이상인 ‘30-50클럽’ 7개국 중에선 최대 수출 감소 폭이다.
7월 수입은 한국이 지난해보다 25.4% 줄어 OECD 37개국 중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과 더불어 수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 및 중간재 수입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최근 배럴당 90달러를 넘긴 고유가와 미국 긴축 기조에 따른 고금리 역시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는 악재”라며 “앞으로 잠재성장률 2% 안팎의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세종=김도형 기자 dod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고금리·고분양가에 1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넉달 연속 하락
- 아파트 거래 올해도 싸늘… 매매회전율 역대 두번째 낮아
- ‘살은 피둥피둥, 각질은 후두둑’…겨울철 건강관리 이렇게
- ‘0원 요금’ 약발 끝났다…알뜰폰 18만명 번호 대이동
- [DBR]“로봇이 냉장고 문짝 척척” 생산성 혁신 스마트 공장
- 원희룡 “전세사기는 질 나쁜 민생범죄…선구제 후구상 신중 검토 필요”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인류 파멸 불씨냐, 번영의 선물이냐”… AI ‘두머’ vs ‘부머’ 대논쟁[인사이드&인사이트]
- “전세금 떼일라” 빌라 기피… 내년초 서울 입주 416채 역대최소
- 中企 은행대출 1000조… 파산 신청업체 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