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택시 심야할증 기본요금 6700원
이소정 기자 , 사지원 기자
입력 2023-01-31 03:00:00 수정 2023-01-31 07:20:42
내일 택시 기본요금 1000원 올라
지하철-버스는 4월 인상 추진
吳시장 “정부 지원땐 인상폭 조정”
기재부 “입장 밝히는것 적절치 않아”

오세훈 서울시장(사진)이 지하철·시내버스 요금 인상과 관련해 “고육지책으로 이해해 달라”며 강행 의사를 30일 밝혔다. 서울시는 다음 달 1일부터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1000원 올리고, 올 4월부터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을 300원이나 400원씩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30일 시민들이 서울역 택시승강장에서 줄지어 택시를 기다리고 있다. 서울 택시 기본요금은 다음 달 1일부터 4800원으로 1000원 인상된다. 심야 할증 기본요금은 최대 6700원이 된다. 뉴시스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해 “300, 400원씩 올린다고 해도 운송 원가에는 턱없이 못 미친다”며 “이 상황은 (시민들이) 고육지책으로 이해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금 인상 폭을) 정말 낮추고 싶다”며 65세 이상 고령자 등에 대한 지하철 무임 승차 요금을 정부에서 지원해 달라고 재차 제안했다. 광역자치단체들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예산안에 무임 승차 관련 예산을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오 시장은 “기재부가 생각을 바꿔 올해 말부터라도 지원하겠다고 입장을 선회해준다면 요금 인상 폭을 조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기재부 관계자는 오 시장의 발언에 대해 “현재로선 입장을 밝히는 게 적절치 않다”며 말을 아꼈다. 지난해 11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교통 복지 성격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해당한다”며 정부 지원에 난색을 표한 바 있다.
오 시장은 지하철 승하차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에 대해선 “전장연이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측불가적인 손해와 손실을 보는 시민 여러분이 사회적 약자”라며 손해배상 소송 등 강경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공언했다. 다음 달 2일 예정된 전장연 측과의 면담에 대해서도 “이미 발생한 손해액을 반드시 소송을 통해 배상받을 생각”이라며 “(면담은) 그 점을 분명히 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하락하고 있는 부동산 가격과 관련해 오 시장은 “연착륙을 통해 문재인 정부 초기 정도까진 되돌아가야 한다”며 추가로 더 내려가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TBS 라디오에서 6년 3개월 만에 하차한 김어준 씨에 대해선 “공영방송을 장난감 가지고 놀듯이 다루면서 특정 정당, 특정 정파의 논리를 보호하고 전파하는 데 쓰시느라 애 많이 쓰셨다. 수고하셨다”고 비꼬았다.

한편 예고된 대로 서울 중형택시 기본요금은 다음 달 1일 오전 4시부터 3800원에서 4800원으로 1000원(26.3%) 오른다. 지난해 12월 변경된 심야할증 체계에 따라 오후 10∼11시와 오전 2∼4시에는 기본요금 5800원이 적용된다. 오후 11시부터 3시간은 기본요금 6700원이 된다. 요금은 올랐지만 현재 2km인 기본요금 적용 거리는 1.6km로 줄어든다.
거리당 요금과 시간당 요금도 바뀐다. 거리당 요금은 현행 132m당 100원에서 131m당 100원으로, 31초당 100원인 시간당 요금은 30초당 100원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오후 11시∼오전 2시’에 종각역에서 강남역까지 약 10km를 이동할 경우 택시비는 1만7700원으로 현재(1만5800원)보다 약 12%(1900원)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심야할증 체계가 바뀌기 전과 비교하면 30%가량 오르는 것이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지하철-버스는 4월 인상 추진
吳시장 “정부 지원땐 인상폭 조정”
기재부 “입장 밝히는것 적절치 않아”

오세훈 서울시장(사진)이 지하철·시내버스 요금 인상과 관련해 “고육지책으로 이해해 달라”며 강행 의사를 30일 밝혔다. 서울시는 다음 달 1일부터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1000원 올리고, 올 4월부터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을 300원이나 400원씩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300, 400원 올려도 운송 원가 못 미쳐”

오 시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금 인상 폭을) 정말 낮추고 싶다”며 65세 이상 고령자 등에 대한 지하철 무임 승차 요금을 정부에서 지원해 달라고 재차 제안했다. 광역자치단체들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예산안에 무임 승차 관련 예산을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오 시장은 “기재부가 생각을 바꿔 올해 말부터라도 지원하겠다고 입장을 선회해준다면 요금 인상 폭을 조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기재부 관계자는 오 시장의 발언에 대해 “현재로선 입장을 밝히는 게 적절치 않다”며 말을 아꼈다. 지난해 11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교통 복지 성격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해당한다”며 정부 지원에 난색을 표한 바 있다.
오 시장은 지하철 승하차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에 대해선 “전장연이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측불가적인 손해와 손실을 보는 시민 여러분이 사회적 약자”라며 손해배상 소송 등 강경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공언했다. 다음 달 2일 예정된 전장연 측과의 면담에 대해서도 “이미 발생한 손해액을 반드시 소송을 통해 배상받을 생각”이라며 “(면담은) 그 점을 분명히 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하락하고 있는 부동산 가격과 관련해 오 시장은 “연착륙을 통해 문재인 정부 초기 정도까진 되돌아가야 한다”며 추가로 더 내려가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TBS 라디오에서 6년 3개월 만에 하차한 김어준 씨에 대해선 “공영방송을 장난감 가지고 놀듯이 다루면서 특정 정당, 특정 정파의 논리를 보호하고 전파하는 데 쓰시느라 애 많이 쓰셨다. 수고하셨다”고 비꼬았다.
● ‘오후 11시∼오전 2시’ 택시 기본요금 6700원

거리당 요금과 시간당 요금도 바뀐다. 거리당 요금은 현행 132m당 100원에서 131m당 100원으로, 31초당 100원인 시간당 요금은 30초당 100원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오후 11시∼오전 2시’에 종각역에서 강남역까지 약 10km를 이동할 경우 택시비는 1만7700원으로 현재(1만5800원)보다 약 12%(1900원)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심야할증 체계가 바뀌기 전과 비교하면 30%가량 오르는 것이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대리 축의금 9만9000원 낸 후배”…1000원 행방은?
- “부끄러운 동문”…서울대에 ‘정순신 임명 비판’ 대자보
- “반쪽페이? 그래도 세다”…애플페이 기대밖 선전에 긴장하는 삼성페이
- 美에선 잘 나가는데…韓 태양광, 국내서 중국산에 밀리는 이유는?
- 여야, ‘민생’에 한목소리…예금자 보호한도 1억으로 상향되나
- 시중은행, 5년간 영업지점 570곳 문 닫아
- 청년들 “정년 늘려야 노인부양 부담 줄어… 우리도 노후 일자리 원해”
- 환불 안 되는 ‘가짜’ 슬램덩크 굿즈…판매자는 알제리·발송지는 중국
- 대기업 작년 4Q 영업익, 전년비 69% 급감…“반도체 직격탄”
- 민간 우주발사체 개발, 첫발 내디뎠다
- 급매 다 팔렸나…서울 아파트 5% 이상 하락 거래 10%p ‘뚝’
- ‘담배 유해성분’ 10년째 제자리… 흡연자‧업계 모두 원하는 ‘투명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