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지점 폐쇄 6년간 1112개…출장소 전환 357개
뉴시스
입력 2022-09-26 13:41 수정 2022-09-26 13:41

국내은행 지점 폐쇄 수가 6년간 1000여개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은행 지점 폐쇄 및 출장소 전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2022년 8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지점은 총 1112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는 ▲2017년 340개 ▲2018년 74개 ▲2019년 94개 ▲2020년 216개 ▲2021년 209개 ▲2022년 8월 179개였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285개(25.6%) ▲신한은행 188개(16.9%) ▲우리은행 157개(14.1%) ▲국민은행 151개(13.6%) ▲씨티은행 88개(7.9%)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73개(42.5%) ▲경기도 227개(20.4%) ▲부산 74개(6.7%) ▲경남 63개(5.7%) ▲인천 51개(4.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전체의 67.5%에 달했다. 지난 6년여간 폐쇄된 국내 은행 10개 지점 중 약 7개는 수도권에서 발생했다는 의미다.
지난 2017~2022년 8월까지 6년여간 지점의 출장소 전환 개수는 총 357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7년 95개 ▲2018년·2019년 43개 ▲2020년 38개 ▲2021년 84개 ▲2022년 8월 46개로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했다.
지점을 출장소로 가장 많이 전환한 은행은 국민은행으로 148개(41.5%)였다. 이어 ▲대구은행 44개 ▲신한은행 35개 등의 순이었다.
은행들이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하는 이유는 운영비용 절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민국 의원은 “점포 폐쇄가 은행의 경영 자율성이라고는 하나,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은행 거래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한다는 것은 은행이 가진 공공성을 배제한 것”이라며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ATM) 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삼성전자, 전력효율 70% 높인 D램 모듈 첫 개발
- “웰컴 유커” 오전엔 전통문화, 오후엔 K뷰티 체험해볼까
- 블록 분류하고 한발 요가… 테슬라 AI로봇, 인간에 더 가까이
- 가계대출 1인당 빚, 年소득의 3배… 청년 대출 급증
- 공공주택 12만채 건설… 공급속도 높인다
-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세달 연속 50% 웃돌았다…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혼추족’ 마음 달랠, 풍성한 도시락
- 7월 출생아수, 2만명선 무너져 ‘역대 최저’…인구 45개월 연속 자연감소
- 1~7월 근로자 실질임금 1년 전보다 5만3천원↓…고물가 여파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 대단지 3만4920가구 분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