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10명 중 7명 “농사 그만두고 싶다…생계 유지 어려워”
뉴스1
입력 2023-03-17 06:36:00 수정 2023-03-17 06:37:00

농민 중 대다수가 생계유지가 어렵다는 이유로 농사 중단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농촌에 대한 2022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민 71.2%는 ‘농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27.8%는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한 적이 없다’고 답변했다.
농사를 그만두고 싶다고 답변한 농민 중 81.0%는 ‘생계가 힘들어서’, 76.7%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라는 답변을 내놨다.
가격 폭락 등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하며 농민들이 농사를 중단할 생각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내 농가들은 전년(4775만원)보다 1.6% 감소한 4699만원의 소득을 얻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농업소득은 농업경영비 증가로 전년 대비 14.7% 감소했는데, 생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사료비, 비료비 등 정부 지원이 없었을 경우 20% 이상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료비, 난방비 등이 급등하며 농업경영비가 치솟았다. 농경원은 유가와 국제곡물가격 상승 등으로 농업구입가격 전년 대비 26.8% 상승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농사 소득의 변동성도 농민들의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이같은 어려움에도 농민들 중 84.3%는 농사를 ‘내 삶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종사하고 있다. 평생 종사해 온 농사 외에는 다른 방안으로 소득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인식도 함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농민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전반적인 농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올해 농가판매가격지수(2015년 100기준)는 3.2%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곡물은 전년 대비 0.8% 하락한 122.0, 청과는 4.4% 낮은 138.9, 축산물은 7.6% 떨어진 102.6으로 농경원은 내다봤다.
축산업 생산액은 한우·돼지 공급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경원은 농작물 재해보험에 대해 보장 수준, 정부 보조율, 보장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등 농민 중심의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농가소득이 흔들리며 농민들의 이탈이 우려되는 만큼 안정적인 소득원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농경원 관계자는 “농민들은 농업경영의 가장 큰 위협 요소로 농업 생산비 증가와 일손 부족,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재배 여건 변화 등을 지목하고 있다”며 “다양한 귀농·귀촌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농촌지 역 생활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비즈N 탑기사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대리 축의금 9만9000원 낸 후배”…1000원 행방은?
- “부끄러운 동문”…서울대에 ‘정순신 임명 비판’ 대자보
- 권도형 체포, 암호화폐 천재에서 일개 범죄자로 추락
- 신한은행, 모든 가계대출 금리 인하…최대 1.5%P 내려
- 삼성전자, 임금 인상 사측 2% vs 노조 10%…입장차 커
- “10명 중 7명이 한국인?”…일본·동남아 방문객 1위 싹쓸이
- 배달 치킨 1마리값 3만원 시대…교촌發 ‘도미노’ 가격인상되나
- 280조원 쏟아붓고도 출산율 ‘1’도 안되는 한국…정부 대책 부심
- 간편결제 일평균 이용액 7000억 돌파…사상 최대
- ‘공시가 하락’ 후폭풍… 전세보증보험 탈락 늘듯
- ‘편리성’ 인터넷銀-‘자금력’ 지방銀 손잡고 공동대출 추진
- 5대 은행, 주담대 심사 때 임차인 보증금 감안해 대출 실행한다